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亞 증시까지 '파월 훈풍'…엔고 직면한 日은 약세(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피봇 선언한 파월…美 다우지수 역대 최고

美 훈풍 亞 전역에 영향…코스피 1.3% 올라

'엔고 직면' 日 약세…침체 우려 中 약보합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아시아 주요국 증시 전반이 ‘산타 파월’ 영향에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정책 ‘피봇’(pivot·통화 긴축에서 완화로 전환)을 선언하면서 투자 심리가 달아올랐다. 다만 연준발(發) 달러화 약세로 엔화 가치가 치솟은 일본의 경우 하락했다.

이데일리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4일 마켓포인트, 마켓워치 등에 따르면 이날 한국 코스피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34% 상승했다. 코스닥 지수는 1.36% 오른 채 거래를 마쳤다. 한국 증시는 장 초반부터 내내 강세를 보였다. 호주 ASX 지수(1.65%), 대만 자취안 지수(1.05%), 홍콩 항셍지수(1.07%) 등은 1% 안팎 뛰었다. 인도 니프티 지수는 장중 1.3% 이상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아시아 증시 전반의 훈풍은 간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피봇(통화 긴축에서 완화로 전환) 선언 이후 달아오른 뉴욕 증시 여파가 그대로 전해진 것이다.

파월 의장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적절한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며 “분명히 이번 회의에서 논의한 주제”라고 했다. 그는 “언제부터 긴축 강도를 낮추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가 가시화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에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40% 상승한 3만7090.24에 거래를 마쳤다. 사상 최고치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37% 오른 4707.09에 마감했다. 증시가 달아올랐던 2021년 12월 31일 당시 최고점(4766.18)에 근접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1.38% 뛰었다.

월가는 이미 연말 산타 랠리를 넘어 내년 연중 강세를 점치는 기류다. HSBC는 “연준의 내년 첫 금리 인하는 3분기”라며 내년 S&P 지수가 5000선까지 오를 것으로 점쳤다. 오펜하이머(5200), 펀드스트랫(5200), 도이체방크(5100), BMO 캐피털마켓(5100), 뱅크오브아메리카(5000), RBC 캐피털마켓(5000) 등에 이어 5000선을 점친 기관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다만 이날 일본 증시의 닛케이 지수는 0.73% 떨어진 채 거래를 마쳤다. 연준 피봇에 따라 엔화 가치가 치솟으면서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도쿄외환시장에서 달러·엔 환율은 장중 달러당 140.98엔까지 떨어지면서 140엔선을 위협 받았다(달러화 약세·엔화 강세).

시장에서는 ‘나홀로 초완화’ 기조를 보였던 일본은행(BOJ)이 이르면 내년 초부터 마이너스(-) 단기 금리를 인상하는 방안 등을 골자로 하는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BOJ는 오는 18~19일 통화정책회의를 여는데, 이때 출구전략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가 최근 “연말부터는 통화정책 운용이 더 까다로워질 것”이라며 긴축 전환을 시사했다.

중국 증시 역시 장 초반만 해도 보합권에서 움직였다가 경기 침체 우려 속에 약보합 마감했다. 상하이 종합지수와 선전 성분지수는 각각 0.33%, 0.62% 떨어졌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