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끊이지 않는 학교 폭력

“39분마다 1명씩 떠났다”…스스로를 손상하는 대한민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클립아트코리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1년 손상 사망 원인 1위는 자살로, 매일 39분마다 1명씩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은 14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13차 국가손상종합통계’를 발표했다. ‘손상’은 각종 사고, 재해, 중독 등 외부 위험요인으로 발생하는 모든 신체·정신 건강 문제를 말한다.

통계를 보면 2021년 손상 사망자는 2만 6147명으로, 이 가운데 1만 3352명으로 ‘자해·자살’로 숨졌다. 하루 36.6명, 39분마다 1명씩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난 것이다.

특히 10~49세 손상 사망자 중 70% 이상이 자살로 인한 죽음이었다.

악명 높은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최근에도 OECD 38개 국가 중 1위를 기록했다. 2019년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가 OECD 평균 8.7명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20.1명으로 2.3배나 높게 나타났다.

자살 시도자는 여성 16,425명으로 남성(9,109명)의 2배 수준이었고, 치료약물이나 농약, 가스 등 중독을 통한 자살 시도가 전체의 80.7%를 차지했다.

손상을 경험한 사람은 약 296만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도와 비교해 감소했다.

연령대에 따라 손상 원인의 특성은 달랐다. 10세 미만 어린이는 100명 중 2명이 추락으로 응급실을 방문했다.

17세 이하 아동 청소년의 경우, 1000명 중 6명은 아동 학대로 인한 손상을 경험했다. 학생 1000명 중 2.2명은 신체적인 학교폭력을, 2.6명은 집단 따돌림을 경험했다.

청장년층은 교통사고와 산업재해 등으로 인한 손상이 두드러졌다. 30대에서는 1000명 중 7.5명이 교통사고를 경험했고, 50대 취업인구 1만 명 중 산업재해로 인한 손상을 경험한 이들은 46.3명에 달했다.

70세 이상 노인의 경우 100명 중 3.1명이 추락으로 입원했다.

서다은 온라인 뉴스 기자 dad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