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취업과 일자리

윤덕룡 경기일자리재단 신임대표 “지자체 산하기관이라고 대행업무만 해선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서울신문과 인터뷰하는 윤덕룡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 경기도일자리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에 취임한 윤덕룡 신임 대표는 15일 서울신문과 만난 자리에서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 1400만이 사는 지역이 경기도인 만큼 이곳에서 만든 정책들이 다른 도시의 모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경제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윤 대표가 도일자리재단 수장을 맡으며 “95%에 달하는 대행업무 비중을 줄여나가겠다”고 밝힌 것도 이와 맥을 같이한다. 경기지역 일자리 정책의 ‘컨트롤타워’ 격인 도일자리재단이 자체사업은 하지 않고 대행업무에만 치중해서는 질 높은 일자리정책을 시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윤 신임대표는 독일 킬(KIEL) 대학에서 경제학 학사, 석사, 박사를 취득했다. 이후에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 한국개발연구원 초빙연구위원, 기획재정부 장관 대외자문관, 한반도평화연구원 원장,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실 자문위원 등 다양한 보직을 두루 거친 경제전문가다.

그는 “우리 재단이 자체적으로 하는 사업은 5.5%에 불과하다”며 “자체사업 비중이 더 많았다면 보다 적극적으로 사업을 하고,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해 인적 역량도 축적시킬 수 있었을 텐데 현재는 대행사업이 대부분이다보니 한번 사업을 진행하고 마는 형국”이라고 진단했다.

도일자리재단에서 반드시 실현하고 싶은 정책을 묻자 윤 대표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일자리 정책’을 꼽았다. 그는 “베이비부머 세대는 기대수명이 늘어나 더 일할 수 있음에도, 정년이 차 은퇴하는 경우가 대다수다”며 “이들의 숙성된 고급기술을 활용하면 고령화 문제에 직면한 우리사회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다”고 했다.

끝으로 윤 대표는 “독일에는 주3일, 4일, 5일 등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가 있다. 그런 게 바로 0.5잡(Job·직장), 0.75잡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국내 베이비부머들에게 이런 형태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고민해봐야 할 때다”고 짚었다.

명종원 기자

임태환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