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엔씨 'AI 금융사업' 성과 부진에 3년 만에 철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엔씨소프트 판교 R&D 센터 사옥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씨소프트가 신사업으로 추진했던 인공지능(AI) 금융 사업을 접는다. 성과 부진이 이유다.

18일 엔씨는 이달 13일 AI 금융 조직인 '금융 비즈(Biz) 센터' 소속 직원 40여 명을 대상으로 조직개편 설명회를 열고 사업 정리 공지를 알렸다고 밝혔다.

엔씨는 직원들에게 다른 부서로 이동할 수 있는 전환 배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퇴사를 희망할 경우 최대 6개월 급여를 위로금으로 준다고 공지했다.

2020년 출범한 금융 비즈센터는 금융권과 제휴해 AI가 자산을 운용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맡았다. 구체적으로 ▲AI 자산관리 ▲AI 투자 전략 ▲금융 AI 리서치 사업을 진행했으나, 뚜렷한 실적을 내지 못했다.

엔씨는 최근 부진 사업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1월 팬덤 플랫폼 사업 '유니버스'를 매각하고 유니버스를 운영했던 엔터테인먼트 자회사 '클렙' 지분 전량도 5월 매각했다. 올 초에는 북미법인 '엔씨웨스트'는 비개발 인력 중심으로 직원 20%를 감축했다.

또 10월 조직·의사결정 체계 정비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변화경영위원회를 만들고 경영 효율화에 나섰다. 이달 11일에는 투자 전문가 박명무 VIG파트너스 대표를 영입해 창사 이후 처음으로 공동대표 체제를 도입했다.

엔씨 관계자는 "올해 초부터 선택과 집중 전략을 실행하며 핵심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며 "일부 조직의 개편 과정에서 인위적인 구조 조정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엔씨는 사내 어린이집 '웃는 땅콩'이 설립 10년 만에 독립재단으로 전환해 재출범한다고 이날 밝혔다.

웃는땅콩은 엔씨가 정직원으로 채용한 보육 교사들이 엔씨 임직원 자녀 300여 명을 사옥 내에 마련된 보육 시설을 통해 돌보는 형태로 운영돼왔다.

엔씨 관계자는 "재단 설립을 통해 어린이집의 독립적·자율적 운영을 보장하고 전문성과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경영 효율화와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