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SI-경북대 공동연구, 초미세먼지 내 유기화합물 분자 단위로 해석
[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겨울철 미세먼지로 한반도가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초미세먼지의 성분을 분자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바이오화학분석팀 김영환 박사 연구팀이 경북대학교 화학과 김성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동절기 한국, 중국, 몽골에서 수집된 초미세먼지 시료의 성분을 분석하고, 발생지역과 관련된 화학적 특성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분석법은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활용해 다양한 초미세먼지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질량분석 데이터 기반 인공신경망 모델링’ 기술이다. 환경 시료 물질의 분자량 및 화학적 조성에 대한 상세 정보 제공은 물론, 수많은 시료 분석 빅데이터가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통해 초미세먼지의 화학적 특성을 다양한 변수들로부터 추론해 분석·해석하는 능력도 있다.
대기질을 악화시키고 사람의 건강까지 위협하는 대표적 환경오염 물질인 초미세먼지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유기화합물이나 벤젠, 톨루엔 등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화학적 구성물로 이뤄져 있다. 특히 벤조피렌과 같은 높은 발암성과 유전자 변형성을 가진 물질은 인체 건강에 치명적이다. 초미세먼지가 어떤 성분을 얼만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은 대기환경 오염을 이해하고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기존 초미세먼지 측정법은 분석 데이터의 복잡성 및 시료 생성 변수의 다양성으로 인해, 그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분석기술은 초미세먼지 발생지역 간 대기환경 오염의 차이와 관련된 환경 오염물질을 분자 수준으로 분석, 발생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초미세먼지 생성 변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이해할 수 있다.
초미세먼지 시료는 3개국의 수도(서울, 베이징, 울란바토르)에서 동절기인 2020년 12월부터 한 달간 매일 포집기를 통해 확보한 입자를 바탕으로, 추출 및 농축 과정을 거쳐 총 692개의 샘플(견본)을 만들었다.
발생지역과 관련된 초미세먼지 구성 유기성분 데이터의 구조분석 결과와 발생원 예측 결과.[KBSI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북대에 설치된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로 모든 시료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데이터는 각 시료가 발생한 지역 정보와 함께 인공신경망 분류 학습 모델에 적용시킴으로써, 각 지역별 분석 데이터와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함께 학습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시료들에 포함된 다양한 유기성분을 분자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발생지역 간 초미세먼지의 화학적 구성이 어떤 차이와 특징을 보이는 지를 알 수 있었다.
또한 KBSI에 설치된 2차원 가스크로마토그래피/고분해능 질량분석기로는 초미세먼지 내 대표적 환경 오염물질인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을 분석했다. 울란바토르의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는 서울과 베이징에 비해 약 2 ~ 3배 이상 높았지만, 유해한 환경 오염물질인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의 농도는 울란바토르가 서울과 베이징에 비해 초미세먼지 농도 차이 보다 훨씬 높게 나왔다.
이를 통해 울란바토르의 초미세먼지는 석탄 연소로 인한 방향족 산화물과 황산화물이 다수 포함돼 있었으며, 서울과 베이징의 초미세먼지에는 석유 연소로 생성되는 산화물이 주요 성분임을 확인했다. 또, 베이징의 초미세먼지에는 디젤 엔진의 연소로 생성되는 방향족 질소 산화물이 추가 관찰됐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공동연구진. 손승우(왼쪽부터) 경북대 연구원, 박문희 KBSI 기술원, 김영환 KBSI 박사, 김성환 경북대 교수.[KBSI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 분야 국제학술지 ‘종합 환경과학’ 11월 25일 게재됐다.
김영환 박사는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초미세먼지 내 유기화합물을 분자 수준으로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인공신경망 모델링 기법을 통해 초미세먼지 발생지역과 관련된 화학적 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했다”며 “이러한 분석법의 다양한 응용을 통하여 대기 환경오염의 주범인 초미세먼지의 생성 경로 분석, 배출원 추적 및 저감 기술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