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강남·非강남 집값 12.8억 차이…영끌족 급매물에 더 벌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금 여유가 있는 고가 아파트 집주인들은 '버티기'…하락 거래 덜해

뉴시스

[서울=뉴시스] 3분기 대비 4분기 구별 아파트 하락거래 비중. (표=부동산R114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서울 중저가 지역 아파트가 더 큰 폭으로 가격 조정을 받으면서 고가 지역과의 집값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자금 여유가 있는 고가 아파트 집주인들이 '버티기'에 들어간 반면, '영끌'(소득 대비 과도한 레버리지) 집주인이 많은 중저가 지역에서는 원리금 상환 부담 압박을 견디지 못해 낮은 가격에 내놓은 '급매물'이 많았기 때문이다.

21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통해 올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을 집계한 결과, 4분기 거래는 4426건으로 3분기 1만827건 대비 59.1% 줄었다. 신고기간(계약 후 30일 이내)이 남아 있지만, 현재 주택 시장 분위기를 감안할 때 수치가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지역별로 3분기 대비 4분기 거래량 감소폭은 ▲서초(-69.9%) ▲서대문(-68.3%) ▲마포(-68.0%) ▲송파(-66.3%) ▲성동(-65.7%) ▲강남(-65.3%) 순으로 컸다. 주로 고가지역에서 거래 감소가 두드러졌는데, 가격 회복이 빨랐던 데다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진입장벽이 높아진 탓으로 풀이된다.

고가지역은 거래가 크게 줄었지만 중저가 지역 대비 집값이 상대적으로 더디게 빠지는 분위기다. 올해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매매계약이 1건 이상 체결된 서울 아파트(동일단지 및 동일면적 기준) 1734개 사례의 실거래가 평균을 분석한 결과, 3분기 대비 4분기 가격이 하락한 거래가 901건(52%)으로, 상승 거래 730(42%)건에 비해 많았다. 지역별로 하락 거래 비중은 ▲도봉(72.5%) ▲강북(65.7%) ▲종로(63.2%) ▲동작(61.5%) ▲성북(61.0%) 등 대체로 중저가 지역이 높았다.

이에 따라 지역별 아파트값 격차가 확대하고 있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비(非)강남 아파트 간 가구당 평균 매매가격 차이는 올해 1분기 12억4000만원 수준이었으나, 2분기 12억6000만원, 3분기와 4분기에는 12억8000만원 수준으로 벌어졌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상급지로 이동 시 가격 부담이 확대되는 만큼, 1주택자의 갈아타기 움직임이 주춤해지면서 겨울 비수기의 거래 절벽은 계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