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취업과 일자리

외국인력 수혈 막힌 호텔·콘도업, 숨통 트나...고용장관 "개선안 마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정식 장관 호텔업계 간담회 개최

"외국인력 활용 등 개선방안 논의"

헤럴드경제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호텔·콘도업의 인력난에 깊이 공감한다. 조금이나마 구인난을 완화하기 위해 문체부 등 관계부처와 협업해 현장 실태조사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 등을 거쳐 합리적인 외국인력 활용방안 등을 검토 중인 만큼 조속히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21일 서울 소재 ‘L7강남 호텔’을 찾아 호텔·콘도업계 관계자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장관의 이날 발언에 따라 내년도 '비전문 취업비자(E-9)' 발급 범위에서 제외된 호텔‧콘도 등을 포함한 숙박업종도 포함하는 방안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11월 27일 고용부는 제40차 외국인인력정책위원회를 통해 E-9 비자 발급 규모를 역대 최다 규모인 16만5000명으로 확정했다. 특히 발급 범위도 농축산업·어업·제조업·건설업·일부 서비스업에서 음식점업·광업·임업까지 확대하기로 했지만 호텔·콘도업은 제외됐다.

이에 한국호텔업협회와 한국휴양콘도미니엄경영협회 등은 정부 결정에 대한 아쉬움을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이날에도 유용종 호텔협회장은 “호텔 객실 청소업무의 내국인 취업 기피는 이미 만성화되어 있어, 외국인력의 고용 없이는 증가 추세인 관광객 숙박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호소했다.

객실 청소업무 담당 근로자도 “객실 청소를 담당하던 동료들이 퇴사하고 신규 채용이 바로 되지 않아 업무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고충을 호소했고, L7호텔 관계자도 “임금 인상, 야간 교통비 지원, 숙식 제공 등 자구책에도 보조 인력을 구하기가 어렵다”고 인력 운용에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 8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8차 국가관광 전략회의'에서 인력 부족이 심각한 호텔·콘도업의 E-9 활용 방안 마련·추진키로 발표한 바 있다. 코로나 상황이던 2020년 이용률은 39.1%(객실숙박 2099만명)에 그쳤지만 작년엔 이용률이 58.8%(4479만명) 치솟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정부는 방문취업동포(H-2)의 숙박업 취업을 허용하고, 재외동포(F-4) 및 유학생(D-2)의 숙박업 취업 허용을 확대한 바 있다. 그럼에도 이 분야의 외국인 취업자 수는 2018년 12만5000명에서 2022년 11만4000명으로 코로나19 전보다 감소해 인력난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 장관은 “외국인 근로자가 꼭 필요한 곳에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업종별 인력수급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해당 업종의 주무 부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고용허가제 허용업종 추가를 탄력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용관리 및 체류 지원 등에 대한 세심한 노력도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fact0514@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