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2027년 ‘AI폰’ 5억대 출하…“삼성 점유율 50% 가져갈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운트포인트 ‘생성AI’ 스마트폰 시장 전망

내년 AI폰 개화 원년, 2027년 점유율 40% 관측

삼성 이끌고 中업체 추격, 칩셋에선 퀄컴 주도

이데일리

출처: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스마트폰 360 서비스, 생성형AI 스마트폰 출하량 및 인사이트 보고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오는 2027년 생성형 인공지능(AI) 스마트폰 출하량이 5억대까지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삼성전자는 생성AI 스마트폰(이하 AI폰) 시장에서 50%의 점유율을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

22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AI폰의 점유율은 약 4%로 예상되며 내년엔 이보다 두 배 성장하며 ‘AI폰의 개화’를 이끌 것으로 예측된다. AI폰 점유율은 오는 2027년 40%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출하량 기준으로는 5억2200만대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83%로 전망된다.

AI폰은 단순히 사전에 프로그래밍된 응답을 제공하거나 미리 정의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생성형 AI를 사용해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스마트폰으로 정의된다. 기본적으로 최적화된 AI 모델을 운영하며 특정 하드웨어 사양을 갖춘다. 주요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단기적으로 정보제공, 이미지 구축, 실시간 번역, 개인 비서 애플리케이션 등 네 가지 영역에 집중하는 AI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로선 삼성전자와 퀄컴은 초반 AI폰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향후 2년간 AI폰 시장에서 약 50%에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샤오미, 비보, 아너, 오포 등을 삼성전자의 뒤를 바짝 추격할 것으로 예측된다.

삼성전자는 앞서 자사 스마트폰에 ‘갤럭시 AI’를 활용한 사례를 강조한 바 있다. 이는 제조업체들이 곧 출시될 스마트폰을 차별화하기 위해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퀄컴도 향후 2년간 생성 AI 스마트폰 칩셋 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

타룬 파탁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리서치 디렉터는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 AI폰의 점유율은 내년까지 한 자릿수에 머물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적극적인 마케팅과 그에 따른 사람들의 관심도에 따라 시장은 더 성장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내년은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며 오는 2026년쯤 AI폰이 더 다양한 가격대에 보급되면서 변곡점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피터 리처드슨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부사장도 “보다 개인화된 콘텐츠 제작, 고유한 개성과 대화 스타일을 갖춘 스마트한 디지털 비서, 콘텐츠 추천 등의 사용 사례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며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메모리 제약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