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뉴욕증시]Fed 선호 물가 둔화 속 혼조 마감… S&P500 8주 연속 상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22일(현지시간) S&P500지수는 소폭 상승했으나 다우산업지수는 소폭 하락하는 등 보합세로 마감했다.

아시아경제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E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8.38포인트(0.05%)떨어진 3만7385.97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7.88포인트(0.17%) 오른 4754.6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9.11포인트(0.19%)상승한 1만4992.97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증시는 상승 출발했으나, 장중 차익실현 압력이 커지면서 하락 전환한 뒤 낙폭을 키우다 마감했다.

S&P500지수는 8주 연속 상승했다. 이는 2017년 이후 가장 오랫동안 오른 것이다. 업종별로는 S&P500지수 내 임의소비재를 제외한 10개 업종이 모두 상승했다.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두고 연방준비제도(Fed)가 선호하는 물가지수가 2021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소식에 연준의 3월 금리 인하 기대가 커졌다.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11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 상승했다. 2021년 4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는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수치로 시장이 예상한 3.3%와 전달의 3.4%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11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달 대비로는 0.1% 상승해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고 10월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11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6개월치를 연율로 환산하면 1.9%로 Fed의 목표치인 2%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Fed의 목표치를 향해 순항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포함한 11월 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6% 올라 전달의 2.9% 상승에서 둔화했다. 이는 2021년 2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전월 대비로는 0.1% 하락해 전달의 보합 수준에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PCE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로 하락세를 보인 것은 2020년 4월 이후 처음이다.

기업별로는 나이키의 주가는 회사가 매출 전망치를 하향했다는 소식에 11% 넘게 하락했다. 풋라커의 주가도 나이키 주가 하락에 4%가량 동반 하락했다.

카루나 테라퓨틱스의 주가는 제약업체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이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47% 이상 올랐다. 로켓 랩의 주가는 회사 계열사가 정부와 5억1500만달러어치의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22% 이상 올랐다.

코인베이스 글로벌의 주가는 JMP증권이 목표가를 107달러에서 200달러로 올리고 '시장수익률 상회' 등급을 유지하면서 4% 이상 상승했다. 옥시텐털 페트롤리엄의 주가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최근 며칠간 회사의 주식을 추가 매입해 지분이 27.7%까지 늘어났다는 소식에 0.6%가량 상승했다.

한편 뉴욕 금융시장은 오는 25일 크리스마스 연휴로 휴장한다.



최태원 기자 skk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