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AI 진심인 애플, '뉴스 콘텐츠' 훈련 위해 언론사에 650억원 제안했다 [글로벌 IT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자료사진.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애플이 자체 생성형 인공지능(AI)인 '애플 GPT' 등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연구에 매진 중인 가운데, 최근 AI 훈련 및 사용권 취득 명목으로 언론사 및 출판사와 콘텐츠 이용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간) 미 뉴욕타임스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최근 몇 주 사이 주요 언론사 및 출판사에 수년간 뉴스 기사 등 콘텐츠를 이용하는 대가로 최소 5000만달러(651억원)를 지불하는 내용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정보통신(IT) 업계에 따르면 뉴스 기사나 출판물 등은 생성형 AI를 개발하고 훈련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양질의 데이터로 꼽힌다.

애플이 제안한 언론사는 크게 미디어 그룹 '콘데 나스트'와 잡지사 '보그', '뉴요커', 'NBC 뉴스'. '피플지' 등을 소유한 IAC 그룹 등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뉴욕타임스는 애플이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구글 등 생성형 AI 선두 주자들을 따라잡기 위해 본격적으로 개발에 착수했음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제안을 받은 일부 출판사는 애플의 제안이 지나치게 광범위하다며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이 저작물 사용에 관해 제시한 라이선스 조건이 지나치게 넓었고, 생성형 AI에서 뉴스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특히 애플이 아이폰 등에 자체 뉴스 서비스를 탑재한다면, 애플또한 경쟁자가 돼 상황이 악화될 것을 우려했다.

반면, 몇몇 언론사 관계자들은 애플의 이 같은 접근이 앞으로 AI 개발사들과 언론사 간의 유의미한 파트너십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기도 했다.

최근 국내외 언론사들은 생성형 AI 개발사들이 AI 학습용 뉴스 콘텐츠를 무단으로 쓴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적합하다는 셈이다.

실제로 오픈AI는 폴리티코, 비즈니스 인사이드 등을 소유한 다국적 미디어 그룹 악셀 스프링어와 뉴스 콘텐츠 사용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한편 애플은 자체 생성형 AI가 개발되고 나면 아이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에 먼저 탑재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 연구 논문에서 AI 챗봇을 활용한 AI를 아이폰에 탑재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해당 연구 논문의 제목은 'LLM in a flash: 제한된 메모리를 사용한 효율적인 대규모 언어 모델 추론'이다.

논문에 따르면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할 경우 RAM이 제한된 장치에서 대규모언어모델(LLM)을 최대 25배 더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내년 출시될 비전 프로에 적용하면 표준 비디오에서 애니메이션 3D 아바타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생성형AI #글로벌IT슈 #애플GPT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