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SKT, AI 기술력 뽐낸다...LGU+ 참관단 파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통 3사, CES 2024 출격
KT 임원진 현장방문 예정


파이낸셜뉴스

SK 그룹 전시관 내 UAM 기체를 형상화 한 매직카펫 조감도. SK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4에서 기술력을 뽐낼 예정이다. 또한 인공지능(AI), 모빌리티 등 주요 사업 가속화를 위해 현장에 참관단을 파견하고, 미래먹거리 찾기에 나선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SKT)은 내년 1월 9~12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에서 SK주식회사,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 E&S, SK에코플랜트, SKC 등 SK멤버사들과 ‘행복’을 주제로 행사장 내 센트럴 홀에 약 1850㎡ 규모의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 SK그룹의 CES 2024 전시관은 ‘원더랜드’라는 테마파크 콘셉트로 기후 위기가 사라진 ‘넷 제로(탄소 순배출량 0)’ 세상과 그곳에서 지속될 행복한 일상의 가치를 SK그룹의 기술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SKT는 도심항공교통(UAM), AI 반도체 ‘사피온’, AI 기반 실내외 유동인구 및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 ‘리트머스 플러스’, 신재생 에너지 가상 발전소 기술을 통해 매직카펫을 타고 미래 교통 체계를 체험하는 새로운 경험을 관람객들에게 선사할 계획이다.

관람객들은 경쟁제품 대비 전력 사용량을 효율화하고 빠른 처리속도를 갖춘 AI 반도체 사피온의 성능을 비롯해 기체에 장착된 카메라, 레이더 등의 센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석해 비행 중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안전한 운행이 가능한 UAM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또 SKT와 SK하이닉스의 다양한 AI 기술을 소개하는 160평 규모의 ‘SK ICT 패밀리 데모룸’도 별도로 선보인다. 데모룸에는 △AI 기반 실내외 유동인구 및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시스템 ‘리트머스 플러스’ △반려동물 AI 진단보조 서비스 ‘엑스칼리버’ △로봇, 보안, 미디어, 의료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는 ‘AI 퀀텀 카메라’ 등 SKT의 핵심 AI 기술을 비롯해 사피온 최신 AI 반도체 ‘X330’,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 등 총 10개의 AI 서비스와 기술이 소개된다.

LG유플러스는 AI, 모빌리티 등 신사업 가속화를 위해 CES 2024에 임직원 참관단을 파견한다. 이번 행사에 참여하는 참관단은 사내 AI 및 모빌리티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이상엽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비롯한 개발 인력과 AI 사업 전략 및 상품 개발을 맡고 있는 성준현 AI/데이터 프로덕트 담당(상무) 산하 최고 데이터 책임자(CDO) 조직 구성원 등이 현장을 방문해 각종 전시 및 세션, 키노트 스피치에 참석할 예정이다.

모빌리티 전문 업체를 포함해 글로벌 기업의 전시관을 찾아 차세대 모빌리티 분야전략에 대해 고민하고, 협업 기회도 모색한다. 이어 AI 전략 수립 및 서비스 로드맵 고도화를 위해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광고, 커머스, 보안 등 AI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산업 사례 중심의 콘퍼런스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AI 기술 동향을 확인함과 동시에 유망 AI 기술을 보유한 업체들을 선제적으로 발굴, 기술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KT도 신수정 전략신사업부문 부사장 등 주요 임원진이 현장을 방문해 사업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