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3 (화)

이슈 불법촬영 등 젠더 폭력

스토킹 피해 신고 1년 만에 4배 급증…"피해자 보호는 미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토킹처벌법이 시행된 뒤 스토킹 피해 신고는 대폭 늘었지만 피해자 보호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 김학신 연구관은 '스토킹 범죄 처벌법상 피해자 보호를 위한 경찰의 실효적 대응' 보고서에서 이같이 지적했습니다.

특히 스토킹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가해자와 피해자를 신속히 분리하는 '긴급응급조치'나 '잠정조치' 등 조처의 강제력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021년 10월 21일부터 시행된 스토킹처벌법에 따르면 스토킹 행위는 ▲ 상대방 또는 그의 동거인, 가족에게 접근하거나 따라다니는 행위 ▲ 상대방이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장소에서 기다리거나 지켜보는 행위 ▲ 상대방에게 우편, 전화, 팩스,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물건이나 글, 말, 그림, 영상을 도달하게 하는 행위 등입니다.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정당한 이유 없이 이 같은 행위를 해서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일으키면 범죄가 성립합니다.

경찰은 스토킹 신고를 접수한 후 긴급응급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해자가 피해자 100m 이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와 전기통신 수단을 이용한 접근을 금지하는 조치입니다.

애초 스토킹처벌법이 제정된 후에는 가해자가 긴급응급조치를 어기는 경우 1천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었습니다.

보고서는 과태료 처분이 형사 처벌과 달리 전과 기록이 남지 않고, 과태료를 내지 않더라도 이를 강제할 수단이 부족해 추가 스토킹 범죄를 막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런 지적을 반영해 스토킹처벌법은 지난 7월 11일 가해자가 긴급응급조치를 어기는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개정됐습니다.

가해자를 유치장 또는 구치소에 가둘 수 있는 잠정조치 기간이 너무 짧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현행 스토킹처벌법 제9조는 전기통신을 이용한 접근 금지 조항에 대한 잠정조치 기간을 3개월로, 유치장 또는 구치소에 유치하는 잠정조치 기간은 1개월로 한정하고 있습니다.

전기통신 이용 접근금지 잠정조치의 경우 두 차례씩 3개월까지 연장할 수 있어 최대 9개월로 늘릴 수 있지만, 스토킹 범죄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잠정조치 기간이 끝나도 스토킹 범죄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작년 6월 한 달간 스토킹 신고 건수는 1만 4천272건으로 법 시행 전인 전년 동월 대비 약 4배 증가했습니다.

법이 시행된 재작년 10월부터 올해 7월까지 긴급응급조치 위반율은 11.0%였고 같은 기간 잠정조치 위반율은 8.0%였습니다.

임상범 기자 doongl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