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취업과 일자리

'경제 허리' 40대가 줄어든다…취업자수도 20년 만에 최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제의 허리 50대로 올라가나? 40대 인구 급감에 취업자수도 최저

2차 베이비붐세대 50대로 이동하며 인구 구조의 변화

일자리 규모 비중도 50대가 1위

노컷뉴스

박종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제의 허리'로 여겨지는 40대가 올해 청년층 다음으로 가장 크게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취업자 수도 지난달 20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을 나타냈다. 인구 구조의 변화로 경제 허리층이 점차 40대에서 50대로 이동하는 추세로 분석된다.

올해 40대 12만명 줄었다, 청년층 다음 가장 크게 줄어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따르면 지난달 40대 인구는 790만9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만9천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8월(-14만1천명) 이후로 4년 3개월 만에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올해 1~11월 40대 인구는 전년 동기 대비 12만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5~29세 청년층(-17만8천명) 다음으로 가장 많이 줄어든 수준이다. 30대는 7만6천명 줄었다. 반면에 50대는 9천명, 60세 이상은 50만9천명 각각 늘었다.

인구 자체가 줄면서 취업자 수도 줄었다.

올해 11월 40대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6만2천명 감소한 625만4천명으로 집계됐다. 2003년 617만2천명 이후로 20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이다. 올해 1~11월 40대 취업자는 전년 동기 대비 5만7천명 감소해 인구와 마찬가지로 감소 폭이 청년층(-10만명) 다음으로 컸다.

고용보험 가입자도 감소하는 모양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1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40대 가입자 수는 사상 처음 감소세로 전환했다.

일자리 비중 50대가 가장 커, "2차 베이비붐세대 50대 이동"


노컷뉴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6년간 1위를 지키던 일자리 규모 비중도 지난해 50대에 넘겨줬다.

지난해 연간 2645만개 일자리 가운데 50대 점유한 일자리가 635만개로 24.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40대는 631만 개로 23.8%를 차지했다.

이같은 현상은 1968~1974년에 태어난 2차 베이비붐 세대가 50대에 접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 경제의 허리로 불리는 40대가 인구 구조 변화로 50대에 주류의 자리를 내어주는 형국이다.

다만, 인구 구조의 영향을 뺀 고용률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40대 고용률은 지난달 79.1%를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0.6%포인트(p) 올랐다. 2021년 4월부터 32개월째 상승세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