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취업과 일자리

인구 줄고 취업도 팍팍… 활력 잃어가는 40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리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40대 인구가 지난달에만 14만명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감소에다 40대 취업자가 많은 도소매업, 제조업 등이 부진했던 점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40대 취업자 수는 20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40대 인구는 790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13만9000명 감소했다. 감소 폭은 2019년 8월(-14만1000명) 이후 4년3개월 만에 가장 컸다. 올해 1~11월 40대 인구는 전년 동기 대비 12만명 줄어들었다. 전 연령대에서 15~29세 청년층(-17만8000명) 다음으로 많이 감소했다. 30대의 경우 7만6000명 줄었다. 반면 50대는 9000명 증가했고, 60세 이상은 50만9000명 늘었다.

세계일보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0대 인구 감소는 취업자 수가 줄어드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고 있다. 올해 11월 40대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6만2000명 감소한 625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달 기준 2003년 617만2000명 이후 20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이다. 11월 기준 40대 취업자 수는 2014년 694만7000명, 2015년 693만5000명으로 690만명대를 기록하다가 올해 620만명대까지 쪼그라들었다. 올해 1~11월 40대 취업자는 전년 동기 대비 5만7000명 감소해 청년층(-10만명) 다음으로 감소폭이 컸다.

40대 취업자 수 감소는 이들의 비중이 높은 산업의 취업 시장이 부진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40대 일자리가 많은 도소매업은 지난 11월과 10월 각각 7000명, 1만1000명 증가했을 뿐 올해 1~9월까지 월평균 5만1000명 취업자 수가 줄었다. 제조업도 지난달 1만1000명 감소하는 등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취업자 수가 계속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40대는 일자리 규모 비중 1위를 6년간 유지했으나 지난해 50대에 넘겨줬다. 지난해 연간 2645만개 일자리 가운데 50대가 점유한 일자리는 635만개로 24.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40대를 제쳤다. 40대는 631만개로 23.8%였다. 다만 인구 효과를 감안한 지표인 고용률의 경우 40대는 지난달 79.1%를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0.6%포인트 올랐다. 2021년 4월부터 32개월째 상승세다.

이상호 한국경제인연합회 경제조사팀장은 “기업이 중장년층 고용을 유지할 필요를 느낄 수 있게 거시적 측면에서 정부의 성장률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중장년층은 한 번 해고되면 재취업이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근로형태면에서 보다 유연한 노동시장 환경을 조성해 고용 경직성을 완화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