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6G 주도권 전쟁

6G·오픈랜 앞세운 과기정통부 "미래 네트워크 기술 주도권 확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채성오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올해 우리나라가 6G, 개방형 무선접속망(오픈랜) 등 미래 네트워크 기술 주도권을 확보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6G 표준을 결정하는 국제기구인 전기통신연합(ITU)와 3GPP의 의장·부의장으로 다수 진출하고 우리나라가 주도한 ITU 6G 비전이 11월에 발표되는 등의 성과가 뒷받침한다.

실제로 신규 6G 상용화·표준화 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R&D예타)가 올해 1월 대상사업 선정을 거쳐 8월 통과됐다. 내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4407.3억원(국비 3731.7억원) 규모로 통과됐으며 이를 통해 2021년부터 추진 중인 6G 원천기술 연구와 연계해 6G 상용화기술 및 핵심부품 개발을 본격화하고 국제표준 반영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리나라가 의장국으로서 주도적으로 수립한 ITU 6G 비전도 올해 11월 발표됐다. 특히 올해는 ITU와 3GPP에서 의장 및 부의장이 총 7명 선출돼 우리나라의 6G 표준화 리더십 확보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또한, 올해 5월에는 2013년 5월에 창립했던 5G포럼의 10주년을 맞아 산·학·연이 함께 체계적으로 6G를 준비해 '6G포럼'으로 새롭게 출범했다. 이에 더해 올해 11월에는 18개국 61개 기관·기업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주간 행사인 '모바일 코리아 2023'을 개최하며 글로벌 국가와의 협력체계를 한층 강화했다.

아울러 지난 19일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협력해 다양한 이음5G(5G 특화망) 환경에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5G 스몰셀(Small Cell)'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5G 특화망에서의 스몰셀 활용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오픈랜 기술은 다양한 제조사 장비를 상호 연동해 무선통신망을 구성하는 기술로, 6G를 비롯한 차세대 네트워크 핵심 기능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기정통부는 올 들어 기술력 확보와 산업 생태계 조성을 아우르는 오픈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오픈랜 장비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오픈랜 기술 개발과 국제공동연구를 적극 지원한 바 있다. 지난 4월에는 민·관, 대·중소기업 간 협력 구심점인 '오픈랜 인더스트리 얼라이언스(ORIA)'출범시켰고 이달 들어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오픈랜 장비의 시험·검증을 무료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랜 국제공인시험소(Korea OTIC)'의 운영도 개시했다.

과기정통부 측은 "미래 네트워크 주도권 확보를 위한 올해 성과에 머물지 않고 치열한 글로벌 NW 기술패권 경쟁을 민첩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디지털 인프라 강국으로 한발 더 앞서 나갈 수 있도록 내년에도 정책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