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티미지뱅크 코리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 남성과 결혼하기 위해 우리나라로 이주한 외국인 여성의 우울증 경험률이 한국 여성보다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1일 공개한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2023’에 따르면, 2021년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증상 경험률은 27.4%로 한국 여성(14.1%)보다 약 2배 높았다.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증상 경험률은 2015년 36.7%에서 2018년 27.9% 등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10% 초·중반대인 한국 여성의 우울증상 경험률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편이다.
2015년 조사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증상 경험률은 젊은 연령에서 가장 높고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점차 감소하다가 60살 이후 고령층에서 다시 높아지는 ‘유’(U)자형 패턴이 나타났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령별 우울증상 경험률은 20대 28%, 30대 27.3%, 40대 27.4%, 50대 27.3%, 60대 26.6%였다.
소득이 적고, 한국어 구사 능력이 낮을수록 우울증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았다. 월 가구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결혼이주여성의 37.9%가 우울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월 가구소득 200만~299만원은 29.3%, 300만∼399만원 26.4%, 400만∼499만원 24%, 500만원 이상 22.5%였다.
한국어 구사 능력이 낮은 결혼이주여성의 31.8%가 우울증상을 경험한 반면, 한국어 실력이 높은 결혼이주여성은 23.2%가 우울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출신 국가별로는 필리핀에서 온 여성의 우울증 경험률이 31.5%로 가장 높았고, 타이(30.2%), 캄보디아(30.1%), 중국(27.9%), 베트남(25.9%), 일본(23.6%), 한국계 중국(23.3%) 순이었다. 한국 거주 기간에 따른 우울증상 차이는 거의 없었다.
우울증상 경험률이란, 최근 1년 동안 연속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건강행태, 만성질환, 성·재생건강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부터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통계집을 발간하고 있다.
장수경 기자 flying710@hani.co.kr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