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사고 68%, 전국 자사고 71.2%
지방 자사고 중엔 이과 80% 넘는 곳도
수능 점수 유리, 미래 소득·취업률 영향도
지방 자사고 중엔 이과 80% 넘는 곳도
수능 점수 유리, 미래 소득·취업률 영향도
서울의 한 대형서점에 비치된 고등학교 수학 미적분, 확률과 통계 자습서. [사진 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교적 상위권 학생들이 모이는 자율형사립고(자사고)의 3학년 학급 중 약 70%가 자연계열 진학을 준비하는 ‘이과반’으로 나타났다.
31일 종로학원이 서울지역 자사고 가운데 학급편성 현황을 공개한 16개 학교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166학급 가운데 113학급(68.1%)이 이과로 분류됐다. 문과는 53학급(31.9%)이었다. 전국단위 자사고도 7개 학교 3학년 59학급 가운데 42학급(71.2%)이 이과였다. 지방의 지역단위 자사고 가운데는 이과 비율이 80%를 넘는 곳도 있었다.
이공계 졸업생들이 미래 소득과 취업률 모두 인문사회 계열 졸업생들보다 높기 때문으로 학원가는 분석한다. 아울러 2022학년도부터 수능 수학영역이 ‘공통+선택과목’ 체제로 바뀌고 선택과목 간 표준점수 차이가 이과에게 유리한 것도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이런 문제가 지적되자 정부는 올해 중학교 2학년 학생들부터 적용받을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안에서 모든 응시영역을 공통과목 체제로 바꾸기로 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기존 수능 체제는 개인의 흥미나 적성이 아니라, 입시에 유리한 과목 위주로 선택을 유도하는 불공정이 컸다”며 “2028 수능은 전국의 고등학교에서 공통으로 가르치는 핵심과목을 출제하고 모든 학생이 동등한 조건에서 시험을 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