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취약계층, 취업부터 채무조정까지 원스톱…올 상반기 ‘서민금융종합플랫폼’ 출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 4일 현장간담회 가지고 발표

민간·정책금융, 조회·대출 한번에…‘서민금융 잇다’

헤럴드경제

[123r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정부가 ‘서민금융 종합플랫폼’인 ‘서민금융 잇다(가칭)’를 상반기 내 출시한다.

민간·정책 서민금융상품 조회부터 대출까지 한번에 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소액생계비 대출 관련 취업·복지연계, 채무조정 등 ‘복합상담’이 비대면으로 가능해질 예정이다. 특히 복합상담은 금융위원회와 고용노동부가 협력해 조만간 강화방안을 내놓는다.

김주현 금융위 위원장은 5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중앙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방문해 현장간담회를 가지고 “새로운 플랫폼의 명칭은 ‘서민금융 잇다’로 할까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저신용·저소득층이 이용할 수 있는 서민금융상품이 다 ‘있고’, 비대면 복합상담을 통해 고용·복지, 채무조정제도를 ‘이어주는 것’을 목표로 하겠다는 뜻”이라며 “올해 상반기 내 운영을 시작하겠다”고 설명했다.

종합플랫폼이 출시되면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민간과 정책서민금융상품을 한 눈에 제공받아 선택할 수 있고, 대출 시행까지 한 번에 지원한다. 그동안 대면으로만 제공해온 고용·복지연계, 채무조정 등 복합상담도 비대면으로도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정책서민금융은 그동안 너무 복잡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서민금융진흥원이 진행한 정책서민금융이용자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용자들은 ‘상품의 종류가 많고 복잡한 점’(26.6%), ‘주 이용 금융회사에서 취급하고 있지 않은 점’(20.7%), ‘여러 금융회사를 방문해야 하는 점’(20.5%)을 이용시 불편했던 점으로 꼽았다.

비대면으로 상담을 가능케 한 점도 이용자 불편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전망이다. 서민금융진흥원 설문조사에서 이용자들은 ‘재무관리, 신용관리 등 전반적인 상담을 받아보고 싶은 생각이 있고’(70.3%), ‘동 상담을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을 선호’(77.7%)하며, 이러한 전반적인 상담이 ‘도움이 될 것 같다’(86.3%)고 답했다.

헤럴드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복합상담은 관련 정부 부처가 합동으로 강화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김 위원장은 “서민금융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가지고 계신 문제는 복합적”이라며 “이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부처 간 협업을 통해 함께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용노동부와 함께 취업지원 등 복합상담 강화방안을 조속히 마련하여 발표하겠다”며 “연체가 발생한 분들을 위한 채무조정 등 지원 방안도 함께 강구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작년 말 국회를 통과한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도 철저히 준비해 연체 채무자의 이자와 추심부담을 완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이민재 고용노동부 고용서비스정책관은 이날 “서민·취약계층이 일자리를 통해 보다 나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금융위원회와 긴밀히 협업하여 금융·고용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실천해나가겠다”고 밝혔다.

th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