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뉴욕증시]반발 매수세 유입으로 美 3대 지수 반등…다우 0.07%↑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욕증시가 연초 이후 조정에 따른 반발 매수로 약반등에 성공했다. 12월 고용보고서가 예상 밖의 강세를 보이면서, 연방준비제도(Fed)의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멀어지는 듯했지만 주가는 소폭 반등하며 마감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77포인트(0.07%) 오른 3만7466.11로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8.56포인트(0.18%) 상승한 4697.24,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3.77포인트(0.09%) 오른 1만4524.07로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5거래일 만에 반등했고, 나스닥지수도 6거래일 만에 올랐다. 다만 상승 폭은 크지 않았다.

12월 고용이 강한 모습을 보였지만,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한 실망보다는 조정에 따른 반발 매수가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

미국 노동부 고용통계국은 지난해 12월 비농업 고용이 21만6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11월 17만3000명보다 4만3000명 더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들의 예상치 17만명 증가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임금 상승률도 전년 대비 4.1%로 예상치인 3.9%를 웃돌았다.

고용 보고서가 나온 직후 주가지수 선물은 하락하고 국채 금리는 오름세를 보였다. 10년 만기 벤치마크 국채 금리는 이날 6bp가량 상승해 연간 수익률이 4.05%에 달했고 2년물 국채금리는 마감 시점 전날보다 3bp가량 오른 4.41%를, 10년물 금리는 5bp가량 상승한 4.04%를 나타냈다.

그러나 시장 참가자들은 고용 보고서보다 다음 주 나오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로 돌아섰다. 이날 오전에 나온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의 12월 비제조업(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시장 예상치인 52.5를 밑돈 50.6을 기록, 전달 52.7보다 낮았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 중에서 필수소비재, 부동산, 헬스를 제외한 8개 업종이 상승했다. 애플의 주가는 최대 협력업체 폭스콘이 1분기 실적 부진을 경고한 데다 미국 법무부가 애플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에 0.4% 하락했다. 테슬라 주가는 중국에서 160만대 이상의 차량을 리콜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0.2% 하락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