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강남구 '서울 첫' 300세대 이상 아파트 모기유충 퇴치컨설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정화조에 모기 유충 방제작업 중인 모습
[강남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 서울 강남구(구청장 조성명)는 이달부터 서울시 최초로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모기 유충 퇴치 컨설팅을 시작한다고 9일 밝혔다.

구는 모기 유충을 선제적으로 없애고자 그간 공원과 주택 정화조에 대해 전수 방역을 해왔는데, 이번에 한발 더 나아가 소독의무시설인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 대해서도 방역 지원에 나선 것이다.

구 관계자는 "지난해 1천826건의 방역 민원 중 약 70%(1천300건)가 모기 방역 민원이었다"며 "지난달 '강남구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자체 소독을 실시하는 300세대 이상 아파트 단지에 대해서도 방역을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서울시 최초로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 70개 단지(5만5천여세대)에 보건소 방역기동반이 방문해 모기 유충 구제(해충을 없앰)를 위한 컨설팅과 기술 이전을 한다. 단지별 정화조, 집수정, 하수구 등을 함께 점검하며 유충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정화조에 구제제를 투입하는 방제 기술 등을 교육한다.

아울러 올해부터 300세대 미만 주택의 정화조 방역도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변경한다.

기존에는 정화조 청소와 모기 유충 방역을 구청의 자원순환과와 질병관리과에서 별도로 진행했지만, 올해부터 부서 간 칸막이를 없애고 원스톱 방식을 도입했다. 청소업체가 정화조 청소 후 바로 구제제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바꿔 인건비와 시간을 절감한다.

또한 개별 주택에 유충 구제제를 직접 지원한다. 150세대 이상~300세대 미만 주택에는 시설 관리인 및 개별 세대에 약품을 직접 배부하고, 150세대 미만의 개별 주택은 동 주민센터에서 약품을 받을 수 있다.

조성명 구청장은 "이번에 처음 실시하는 공동주택 모기 퇴치 컨설팅 사업을 통해 아파트 단지의 방제 수준을 높여 쾌적하고 건강한 주거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princ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