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집값 바닥론'에 확대되는 주담대…지난해 가계대출 10조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위, '2023년 중 가계대출 동향' 발표

아주경제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권 가계대출이 1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에도 고금리 상황은 유지됐지만 부동산 시장이 일부 회복되며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10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년 대비 10조1000억원 증가했다. 2020년, 2021년만 하더라도 100조원을 웃돌던 가계대출 증가액은 2022년 통계 집계 후 처음으로 감소했지만 1년 만에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이는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찍었다는 심리가 확산되면서 주택 자금 수요가 늘어난 데다 '대출부터 갚고 보자'는 추세도 급격히 옅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주담대는 은행권을 중심으로 45조1000억원 증가해 전년(+27조원) 대비 증가폭이 대폭 확대됐다.

가계부채를 잡기 위해 정부는 지난해 9월 일반형 특례보금자리론 판매를 조기 중단하고 50년 주담대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만기를 최장 40년으로 제한하는 등 규제 강화에 나섰지만 가팔라진 속도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37조1000억원)이 전년 순감(-2조8000억원)에서 증가 전환됐으나 과거 대비(과거 8년 평균 +62조1000억원) 안정적인 상황이라고 금융위는 평가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감소폭이 크게 확대(-6조→-27조원)됐다.

은행권 주담대는 전년 대비 증가폭이 확대(+20조→+51조6000억원)됐으나 과거 평균 수준(과거 8년 평균 +49조원)이었다. 기타대출은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감소폭은 전년 대비 축소(-22조8000억→-14조5000원)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보험(+2조8000억원)이 소폭 증가한 반면 상호금융(-27조6000억)과 저축은행(-1조3000억원), 여전사(-9000억원)는 감소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가계대출이 주택시장 회복 등으로 증가 전환했으나 대부분 실수요자 위주의 정책자금 대출 위주"라며 "증가폭도 예년 대비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 만큼 올해 중 '스트레스 DSR'의 단계적 도입 등 발표 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해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에 기반한 대출 취급 관행이 정착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주경제=안선영 기자 asy728@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