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노도강’, ‘금관구’ 집값 강남과 격차 더 커져... 양극화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경이코노미

(출처=연합뉴스)


지난 2023년 서울 지역별 아파트값 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금관구(금천·관악·구로)’ 지역은 하락률이 서울 평균보다 2배 이상을 기록해 가격 격차가 벌어졌다.

부동산R114가 2023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2022년 말과 비교해 2023년 아파트값 변동률은 -2.95%였다. -1.45%를 기록한 2022년에 비해 하락폭이 커졌고,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된 동북권과 서남권 외곽의 하락세가 도드라졌다. 도봉구(-8.95%), 관악구(-8.56%), 강북구(-7.58%), 구로구(-7.33%), 노원구(-6.98%) 순으로 낙폭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송파구는 2022년 매매변동률 -7.62%를 기록하며 서울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떨어진 지역이었으나, 2023년 2.52% 가량 상승하며 빠른 가격 회복세를 보였다. 대표 아파트인 트리지움, 리센츠 등의 시세 주도와 올림픽선수촌, 잠실동 아시아선수촌,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등 ‘올림픽 아파트 3대장’의 안전진단 통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2040 서울플랜’을 적용한 잠실주공5단지 등 재건축 추진 호재도 있었다.

2023년 하락폭이 컸던 동북권과 서남권은 한강 벨트로 꼽히는 마포, 용산, 성동구를 비롯해 강남 3구와의 가격 격차가 2022년보다 더 커졌다. ‘노도강’의 아파트 평균 가격은 강남 3구와 비교해 2022년 16억7236만원에서 2023년 16억9113만원으로 차이가 커졌다. ‘금관구’역시 강남3구와의 매매가 차이가 15억7116만원에서 16억970만원으로 늘었다.

주로 중저가 아파트들이 밀집된 해당 지역은 지난 2023년 이자 상환 부담 등으로 급매물이 늘며 하락 거래 비중이 다른 지역보다 컸던 것으로 보인다. 또 50년 주택담보대출, 특례보금자리론 등의 대출이 종료되며 4분기 들어 거래 위축과 매매가 하락이 확대됐다.

고가 아파트 시장은 이미 촘촘한 대출규제로 인해 대출 요건이 강화되더라도 매매가에 영향을 덜 받지만, 중저가 시장의 경우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하면 매수세와 집값에 탄력적인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상황 등으로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부동산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딘데다 지역 간 집값의 양극화도 심화돼 상급지로 갈아타는 수요가 당분간 주춤할 것”이라 전망했다. 백 책임연구원은 “동북권과 서남권은 매도·매수자 간 눈치 보기가 이어지며 급매물 위주로 간헐적인 거래가 이루어진다”며 “관망세가 길어질수록 서울 핵심지와의 가격 격차가 벌어진 상태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