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작년 12월 전국 집값 하락 전환…연간 3.56%↓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아파트값, 전국은 4.83%·서울은 2.18% 하락

작년 12월 전셋값은 0.12% 상승…작년 연간으로는 전셋값도 하락

연합뉴스

집값 하락(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희선 기자 = 작년 7월 이후 상승세를 보여온 전국 주택 매매가가 12월에는 하락 전환했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집값이 3.56% 내리면서 2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2월 전국주택 가격동향조사' 결과, 지난해 12월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0% 하락하며 작년 7월 이후 5개월 연속 이어진 상승세를 마감했다.

수도권에서는 서울(-0.07%)과 경기(-0.13%)가 하락으로 돌아섰으며, 인천(-0.35%) 역시 하락 폭이 확대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둔화 우려로 매수 관망세가 깊어지는 가운데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매물가격이 하향조정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는 서초(-0.13%), 강남(-0.11%), 송파(-0.02%) 등 강남 3구를 비롯한 18개구의 집값이 떨어지면서 강북지역과 강남지역이 모두 하락 전환했다. 다만 성동구(0.13%), 용산구(0.05%), 영등포구(0.07%) 등 5개구에서는 올랐다.

지방 매매가 역시 0.07% 떨어지면서 하락으로 돌아섰다. 부산(-0.29%), 대구(-0.23%), 제주(-0.11%) 등 대부분 지역에서 집값이 내려갔다.

연합뉴스


지난해 연간으로 보면 전국 주택 매매가는 3.56%, 서울 매매가는 1.95% 각각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집값이 하반기 들어 상승세를 보이면서 '상저하고'의 흐름을 보였지만, 전반적으로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

다만 2022년(전국 -4.68%, 서울 -4.75%)에 비해 하락 폭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아파트값은 전국이 4.83%, 서울은 2.18% 각각 떨어졌다.

전국에서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부산으로 8.46%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어 대구가 8.25% 내려 낙폭이 두 번째로 컸다.

단독주택은 전국적으로 1.13%, 서울은 0.67% 상승했는데, 전년도(전국 1.61%, 서울 2.07%)에 비해 상승 폭은 줄었다.

지난해 전세시장도 약세를 보였다.

작년 주택 전셋값은 전국 기준 5.07%, 서울은 5.25% 각각 떨어졌다.

아파트 전셋값은 전국이 6.95%, 서울이 6.94% 하락했다.

다만 고금리로 매매 수요가 전세로 옮겨가면서 작년 8월 이후 전셋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 12월 전국 주택 전셋값 역시 0.12% 올라 5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지만, 그 폭은 전월(0.27%)보다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0.46%→0.23%), 서울(0.43%→0.25%), 지방(0.09%→0.02%) 모두 전셋값이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 폭은 축소됐다.

hisunn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