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수도권도 꺾였다… 전국 집값 6개월 만에 하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서울시내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거래 절벽이라는 말이 딱 맞아요. 앉아서 놀면 안 되니까 광고도 많이 하고 여기저기 전화도 돌려보는데 죽을 맛입니다.” (서울 노원구 상계동 A공인중개사업소 관계자)

고금리 장기화와 경직된 대출 규제는 물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로 인한 건설경기 침체 시그널까지 겹치면서 매매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되자 지난해 7월 이후 상승세를 보이던 전국 집값이 6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2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 가격은 전월 대비 0.10% 하락했다. 지방(-0.07%)은 물론 수도권(-0.14%)도 하락으로 돌아섰다. 전국 집값은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 반짝 상승세를 보였지만, 연간으로 살펴보면 3.56% 내리며 2022년 4.68% 내린 데 이어 2년 연속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도 급매물 위주의 거래만 나타나며 매물 가격의 하향 조정이 이어졌다.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구로구(-0.26%), 노원구(-0.22%), 도봉구(-0.14%), 마포구(-0.13%), 동작구(-0.13%), 서초구(-0.13%) 등에서 하락세가 컸다.

2021~2022년 최고가 대비 30% 가까이 빠진 단지도 있다. 구로구 주공1차 아파트 전용면적 84㎡의 경우 2021년 10월 11억 550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지만, 지난달 같은 면적이 8억 2000만원에 거래되면서 30% 가까이(3억 4000만원) 하락했다. 서초구 우면동의 서초힐스 역시 전용면적 74㎡가 2021년 10월 16억 5000만원에 매매됐지만, 지난달에는 4억 9000만원(29%)이 빠진 11억 6500만원에 거래됐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하반기 주택담보대출·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중단 등의 대출 규제 영향이 크다고 말한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대출을 일으켜서 매수를 해야 하는 수요자가 많이 유입되는 중저가 지역일수록 가격 조정이 컸다”며 “올해 신생아 특례대출 등이 제공되긴 하지만 예산 규모라든지 대상 가구가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특례보금자리론만큼의 파급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