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취업과 일자리

한전 200조 적자 내더니... 결국 청년 일자리 수백개 줄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경이코노미

한국전력 본사 사옥.(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0조원대 부채가 있는 한국전력이 심각한 재무 위기로 지난해 체험형 청년 인턴을 약 1500명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16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전 신규 채용 인원은 266명에 그친 반면, 퇴직 인원은 이보다 478명 많은 744명에 달했다. 채용감소 영향으로 2023년 말 한전 임직원은 2만3050명(이하 현원 기준)으로 전년 2만3630명보다 580명 줄었다. 현원 변동에는 정원 증감에 더해 휴직·정직자 증감 상황까지 함께 반영된다. 한전 임직원은 2020년 이후 2만3000명 선을 유지해왔다.

대표적으로 청년 일자리인 인턴 채용도 대폭 줄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한전은 한 해에 700명 넘게 채용형 인턴을 뽑았지만 지난해에는 1~11월 동안 187명의 채용형 청년 인턴만 채용했다. 채용과 연계되지 않은 체험형 인턴도 연 1700명까지 뽑았는데 지난해는 181명을 채용한 데 그쳤다.

한전의 채용 축소는 200조원에 달하는 심각한 재무 위기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전후로 국제 에너지 가격이 폭등했지만, 원가보다 낮은 가격에 전기를 판매한 한전은 2021∼2022년 38조5000억원의 영업 손실을 봤다.

한전은 재무구조 개선 작업의 일환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신규 채용을 대폭 줄이며 비상 경영을 진행 중이다. 2026년까지 25조7000억원 규모의 재무개선도 추진하고 있다. 꾸준히 전기요금을 올리고 국제 에너지 가격이 안정화 수순에 들어서며 손익분기점을 가까스로 넘기고 있다. 그러나 한전이 진 빚에 따른 하루 이자만 130억원대로, 연간 5조원의 이익을 내고 빚을 축소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정부는 지난 1월 14일 어려운 서민경제 여건을 고려해 취약계층 365만 가구의 전기요금 인상 유예 조치를 1년간 한시적으로 연장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취약계층은 가구당 월 최대 6604원의 요금할인 효과가 기대되지만, 한전은 약 2800억원의 재정 부담이 더해지면서 누적 적자 해소는 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