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지금이라도 일본에 베팅해봐?”…‘사상 최고’ 넘보는 日증시, 근거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IGER일본니케이225’ 등 1개월새 9% 수익
엔저 상황서 엔화 상승시 환차익도 기대
일본 개인투자자 거래 늘어 증시 상승 견인
버블 이전 최고점 3만9000 경신 전망도
美 금리 인하하면 증시하락 가능성도


매일경제

일본 시민이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 전광판 앞을 지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일본 증시가 1990년 이후 34년만에 최고 평균치를 돌파하는 등 지난해부터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국내서 투자가능한 일본 증시 상품의 최근 1개월 수익률이 두 자릿수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올 연말에는 일본 증시가 버블 이전 기록한 사상 최고점을 돌파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내놓으면서 일본 증시 ETF 상품의 주목도가 커지는 모습이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1개월 기준 ETF 수익률 상위 8위에 ‘TIGER일본니케이225’가 안착했다. 이 상품은 일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를 추종한다. 증시에 투자하는데도 최근 1개월 기준 8.95% 수익률을 보여 눈에 띈다.

이 상품은 유니클로 등 글로벌 브랜드를 운영중인 패스트 리테일링 10%, 일본의 대표 반도체 회사인 도쿄 일렉트론 7% 등 일본 증시의 225개 주식에 분산투자한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도선 미래에셋자산운용 매니저는 “TIGER 일본니케이225 ETF는 연초 이후 수익률 7.23%(1월15일 기준), 순자산총액이 284억이 증가하는 등 일본 증시 상승에 힘입어 높은 수익률과 관심을 받고 있다”며 “해당 ETF는 국내 닛케이지수 관련 ETF중 유일한 엔화 노출 상품으로, 엔화 상승 시 환차익까지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엔 재정환율은 지난해 11월 100엔당 850원대까지 하락한 후 16일에는 기준 911원까지 오르고 있다.

일본 증시를 추종하는 다른 상품들도 나란히 수익률 상위 목록에 들어섰다. ‘ACE 일본Nikkei225(H)’ ‘KODEX 일본 TOPIX100’ ‘TIGER 일본TOPIX(합성H)’ 등이 각각 7~8%대 수익률을 거두는 중이다. 이들 상품도 도쿄거래소 지수에 기반한 225개 종목 혹은 시가총액 상위 100개 등 종목을 분산해 담아뒀다.

일본 증시의 주요 상승 배경에는 일본 개인 투자자들의 거래 증가가 꼽힌다. 여기에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엔화 약세에 따라 수출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기업 등 실적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도 증시 견인에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김성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리포트를 내고 “일본 증시의 긍정적 흐름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외국인이 작년 3월 이후 일본 증시에서 이탈한 빈자리를 개인투자자들이 메우고 있다”며 “특히 11월부터 개인 매수세가 탄력을 받고 있는데 ‘새로운 소액투자비과세제도(NISA)’의 도입이 영향을 미쳤다. 주식투자 비과세 한도는 세 배, 기간은 기존 5년에서 무기한으로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예금에 편중된 일본 개인들의 자산이 향후 주식으로 옮겨오면서 증시 상승의 기폭제로 작용할 것이라는 얘기다.

그는 이어 “연초 노토반도 지진을 계기로 상반기 일본은행(BOJ) 기준금리 인상 기대감이 사라졌다. 최초 금리 인상 시점이 9월로 지연되면서 2024년 들어 엔화는 다른 통화들보다도 더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일본 증시가 버블 이전 기록한 사상 최고점(3만8957)을 넘어설 거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히로키 타카시 마넥스증권 수석 전략가는 “닛케이는 견조한 기업실적에 힘입어 연말에 사상 최고치인 4만2000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각에서는 미국 금리 인하에 따른 반대 급부로 엔화가 다시 강세를 보일 경우, 일본 증시가 현재 고점 수준으로 향후 약세를 보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편, 일본 증시는 전날까지 6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3만5901으로 마감했다. 1990년 2월 이후 34년만의 최고치로, 장중 3만6000도 돌파했다. 이날에는 전일대비 소폭 하락(-0.79%) 해 3만5619로 장을 마쳤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