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中 약한 증시부양책, 보수적 대응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리츠증권 보고서

"H지수 이미 역사적 하단…저점 추정도 어려워"

일본·인도, 中 이탈자금 반사수혜 이어질 것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중국의 증시 부양책이 시장 기대치 대비 다소 약하다는 판단 속에 중화권 증시는 연초부터 급락하고 있다. 이에 중국 증시에 보수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또 중국에서 빠져나온 차이나엑소더스 자금이 일본과 인도로 향하는 ‘반사랠리’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3일 최설화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기대와 달리 중국 주식시장은 올해도 부진하다”면서 “상하이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지지선인 2800선을 하향 돌파했고, 홍콩H지수는 전세계에서 가장 저평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초대비 11% 급락했다”라고 지적했다.

최 연구원은 “시장 하락의 근본적 원인은 연초 기대했던 중국의 강력한 부양책이 부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1월 인하를 기대했지만 대출우대금리(LPR)는 동결됐고 다보스포럼에서 리창 총리의 부양 없는 성장에 성장에 만족한다는 발언이 나왔다. 또 연초 지방정부 부채비율이 높은 지역의 인프라투자 중단 조치 등은 중국의 경기부양 기대를 낮추기에 충분했다는 판단이다.

그는 “예상했던 강한 부양책이 부재는 중국의 중장기 저성장으로 전락될 우려를 심화시키면서 국내외 자금 이탈 및 주가연계증권(ELS) 녹인 등 수급 악재를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최 연구원은 중국이 강한 증시부양책을 내놓지 않는 이유를 두 가지로 제시했다.

그는 “첫째, 중국 경기에 대한 정부와 시장 참여자의 시각 차이가 존재한다”면서 “시장은 민간 소비의 부진, 높은 청년 실업률, 부동산 경기 침체 등 가계와 민간기업 부문의 성장 둔화에 주목하지만, 정책당국은 경제 구조 전환 등 체질 개선에 더 집중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서는 일부 민간경기의 부진을 감내하겠다는 게 중국 정부의 의지라는 평가다.

이어 “둘째로는 올해 전세계 다양한 정치 이벤트가 예정되어 있어 불확실성이 낮아진 다음에 부양에 나서는 것이 더욱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했을 수 있다”라고 판단했다.

최 연구원은 “중국증시가 부진하며 앞으로 시장은 3월 양회에 주목할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진행 중인 지방정부 양회의 목표를 보면 3월 양회에서도 예상을 상회할 만큼 강한 부양책이 발표될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따라서 그는 중국증시는 뚜렷한 펀더멘털 개선을 보이기 직전까지 상승 모멘텀이 부재하다는 점에서 보수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 연구원은 상하이종합지수 기준 역사적 저점은 2500선을 제시했지만 홍콩H지수는 단순 추정도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 중국 중장기 저성장 우려와 ‘홍콩 보안법’, ‘간첩법’ 등 정책 리스크로 자본 유출이 펀더멘털 요인을 압도하고 있다”면서 “장기 성장에 대한 신뢰 회복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저가 매력에도 불구하고 증시 반등 모멘텀은 강하지 않으며 시장의 바닥도 과거 밸류에이션으로 쉽게 추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그는 “중국증시 부진으로 일본과 인도의 증시 랠리가 이어질 가능성에 주목한다”면서 “이들 국가는 펀더멘털 개선 외에도 중국증시 부진에 따른 수급 혜택을 누렸던 곳이었는데, 올해도 부진한 중국증시로 수급 반사이익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