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호황 인도 증시, 늪 빠진 홍콩 첫 추월…4대 시장 '우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가총액서 앞서…인도 지수 8년 연속↑, 홍콩H지수 4년 연속 ↓

"인도, 최고의 장기 투자 기회" vs "중국 증시 회복 기대"

연합뉴스

인도 뭄바이 증권거래소(BSE) 빌딩 앞을 한 시민이 지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기성 기자 = 인도 주식시장이 시가총액 면에서 처음으로 홍콩을 제치고 세계 4대 주식시장의 자리에 올랐다.

인도 주식시장은 인도의 성장 전망과 함께 개혁 정책이 투자자들의 호응을 받아 총 주식 가치가 홍콩을 추월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3일 보도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날 마감 기준으로 4조3천300억달러(5천776조원)에 달했다.

홍콩의 경우 4조2천900억달러(5천722조원)에 그쳤다.

연합뉴스

[그래픽] 세계 주식시장 시가총액 순위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인도 주식의 시가총액 합계는 지난달 5일 처음으로 4조달러(5천336조원)를 돌파했으며, 지난 4년 사이 배로 늘었다.

인도 주식은 개인 투자자들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기업 수익 호조 덕분에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인도는 세계 인구 최다 국가로 안정적인 정치적 환경 및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주요 국가 중 소비 중심 경제 덕분에 글로벌 투자자와 기업 양쪽의 신규 투자를 끌어내면서 중국의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

인도 뭄바이에 위치한 액시스(Axis) 뮤추얼 펀드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아시시 굽타는 "인도는 성장 모멘텀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적절한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으로 인도의 추월은 홍콩과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록적인 수준의 침체 덕을 보기도 했다.

중국과 홍콩 주식들의 시가총액 전체는 2021년 정점을 찍은 이후 6조 달러(약 8천조원) 이상 사라지는 등 엄청난 폭락을 겪고 있다.

홍콩은 특히 금융 중심지로서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기업공개(IPO) 장소 중 하나라는 위상마저 상실하면서 신규 상장도 고갈됐다.

새해 들어서도 중국에서는 시장이 기대하는 주요 경기 부양책이 나오지 않아 중국과 홍콩에 대한 비관적 전망은 더욱 심화했다.

홍콩에 상장된 중국 주식들에 대한 홍콩H지수(HSCEI)는 지난해까지 4년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올해도 이미 10% 이상 하락했다.

이 지수는 거의 20년 만에 최저 수준을 향해 끝 모를 추락을 거듭하는 반면, 인도의 주식 벤치마크는 사상 최고 수준에 근접해 거래되고 있다.

영국 런던의 싱크탱크인 OMFIF의 최근 연구로도 글로벌 연금 및 국부펀드들이 인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인도 주식에는 해외 자금이 210억달러(28조원) 이상 밀려들면서 인도 증시를 대표하는 S&P BSE 센섹스 지수가 8년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는 데 도움이 됐다.

골드만삭스 전략가들도 자사의 글로벌 전략 콘퍼런스에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지난 16일 낸 보고서를 통해 "인도가 최고의 장기 투자 기회라는 점에는 분명한 컨센서스가 있다"라고 전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여전히 반전에 대한 기대를 놓지 못하고 있다.

UBS는 지난해 11월 보고서에서 올해 중국 주식의 수익률이 인도 주식을 능가할 것으로 봤다.

큰 타격을 받은 시장 가치는 일단 투자 심리가 바뀌면 상당한 상승 잠재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IPO 부진도 "매우 극단적인 수준"에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미국 투자회사 번스타인도 이달 초 보고서에서 중국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인도 주식이 이미 많이 오른 만큼 이익 실현을 권고했다.

cool21@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