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증시도 중국 대신 인도?···사상 첫 글로벌 증시 시총 4위 등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홍콩 시민들이 23일 증시현황이 표시된 전광판 앞을 지나가고 있다. 홍콩/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도가 홍콩을 제치고 증시 시가총액 4위 국가 자리에 올랐다. 중국 경기 부진 우려로 중화권 증시가 폭락세를 보이는 사이, 성장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는 인도 주식시장에 자금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날 마감 기준으로 4조3300억달러(5776조원)에 달했다. 홍콩의 경우 4조2900억달러(5722조원)으로 인도에 미치지 못했다. 인도 주식의 시가총액 합계는 지난달 5일 처음으로 4조달러(5336조원)를 돌파했으며, 지난 4년 사이 두배로 늘었다.

인도 주식은 개인 투자자들의 급속한 증가세, 기업 실적 호조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특히 인국은 최근 성장세가 나빠진 중국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신흥 투자처다. 지난해 인도 주식시장에 투자한 외국인 자금만 214억달러에 달한다. 세계 인구 최다 국가로 시장 가치가 크고, 안정적인 정치적 환경 및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주요 국가에 속한다.

인도 뭄바이에 위치한 액시스(Axis) 뮤추얼 펀드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아시시 굽타는 “인도는 성장 모멘텀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적절한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으로 인도 증시의 약진은 홍콩과 중국 증시의 급락세 덕분이기도 하다.

중국과 홍콩 증시 시가총액은 2021년 정점을 찍은 이후 6조달러(약 8000조원) 이상 사라지는 등 엄청난 폭락을 겪고 있다. 홍콩은 특히 금융 중심지로서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기업공개(IPO) 장소 중 하나라는 위상마저 상실하면서 신규 상장도 고갈됐다.

특히 시장 기대와 달리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점도 증시 부진을 부채질하고 있다. 홍콩H지수(HSCEI)는 올해 들어서만 이미 10% 이상 하락했다.

골드만삭스 전략가들도 자사의 글로벌 전략 콘퍼런스에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지난 16일 낸 보고서를 통해 “인도가 최고의 장기 투자 기회라는 점에는 분명한 컨센서스가 있다”라고 전했다.

다만 일부에서는 여전히 중국 증시 반전에 대한 기대가 유지되고 있다. 미국 투자회사 번스타인은 이달 초 보고서에서 중국 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인도 주식이 이미 많이 오른 만큼 이익 실현을 권고했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