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김준우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원칙 있는 타협’이라는 의미에서 거대 양당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간사진에서 협의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되, 캡조항을 복원하는 방안을 수용한다”고 말했다.
![]() |
정의당 김준우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21대 총선에선 준연동형 비례제를 도입하며 한시적으로 비례대표 의석 47석 중 30석에 준연동형을 적용한 바 있다. 당시엔 준연동형 의석 비율이 높아 위성정당이 난립하는 문제가 생겼다. ‘준연동형 캡’을 더 작게 씌우고 병립형 의석 비율을 늘리면 양당이 위성정당을 만들 요인이 줄어든다.
김 위원장은 “적어도 위성정당 있는 준연동형 보다는 위성정당 없는 캡조항이 있는 준연동형이 비례성 증진이라는 원칙에 더 부합한다고 판단했다“며 “물론 이러한 합의는 두 거대 양당이 적절한 캡을 다시 만드는 대신에, 위성정당을 창당하지 않겠다는 정치적 선언을 하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의당에서 캡 부활까지 수용하려는 것은 거대 양당이 위성정당을 재창당하는 것을 막고, 적어도 병립형으로의 퇴행을 막고자 하는 고육지책”이라며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이상의 비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선거제도를 구축하자는 정치개혁연대가 필요하며 그 최소한의 시작은 병립형 비례대표제로의 퇴행을 선택하지 않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정의당도 22대 국회에서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만을 고집하지 않겠다”며 “민주당 박주민 의원이 발의했던 스웨덴식 중대선거구제도, 아일랜드에서 실시하는 단기이양식 중선거구제도, 프랑스에서 실시하는 소선거구 결선투표제도 등 다양한 안을 놓고 새로운 토론을 시작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민주당 임혁백 공천관위원장이 언급한 ‘소수정당 배분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은 “분명한 퇴행이며, 민의를 반영하지 않은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 그는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는 단순 퇴행이 아니라 촛불 이전보다 더 비례성이 낮은 제도”라며 “민주당에서는 더 이상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를 재론하지 않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