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슈 제 22대 총선

총선 74일 앞둔 민주, 선거제 놓고 우왕좌왕…“결국 이재명의 시간” [이런정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도부 “권역별 병립형 비례제가 현실적”

의원 80인 “준연동형 유지, 진보연합 구축”

헤럴드경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양근혁 기자] 4월 총선이 74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선거제에 대한 입장을 정하지 못했다. 지도부 다수는 권역별 병립형 비례제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80명의 현역 의원들은 준연동형을 유지해 범진보세력 연합으로 선거를 치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종적인 결단을 내려야 할 이재명 대표는 총선에서 민주당 단독 노선을 가느냐 야권 연합을 구축하느냐를 두고 고심 중이다.

이탄희 등 민주당 의원들은 26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개혁진보대연합’을 촉구했다. 기자회견문에는 민주당 국회의원 80명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시민사회단체가 주도하는 연석회의에 민주당과 모든 진보·개혁정당들이 참여해 연합 구체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 다수는 여당과의 협상을 위해선 병립형 회귀가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주장한다. 이 대표가 대선 국면에서 약속한 ‘다당제 실현’과 민주당이 내세워온 ‘지역주의 타파’에 반한다는 비판을 완화하기 위해 권역별 비례제와 이중등록제 등의 보완책을 더한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들은 병립형을 전제로 한 권역별 비례제는 국민의힘도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여당은 호남에서 의석을 가져가는 것에는 큰 관심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그래도 일단 병립형으로 가자는 것이니까 협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다만 지역구 후보가 비례대표 후보로도 나설 수 있도록 하는 이중등록제는 국민의힘이 반대하고 있어 여야 간 협상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양측 모두 이제는 이 대표의 선택만이 남아있다며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 한 지도부 관계자는 “지금은 준연동형 비례제로 현행대로 가느냐, 아니면 병립형 회귀를 전제로 협상을 하느냐 갈림길에 서있다”며 “민주당이 회귀하지 않겠다고 선언을 하든지, 아니면 국민의힘과 협상 테이블에 앉든지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 이재명의 시간이다”라며 “이 대표가 어떤 것을 선택하는지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대표실 관계자는 통화에서 “당내에서 어느 쪽이 많다고 해야할지는 모르겠다”며 “병립형을 주장하시는 분들과 준연동형 유지를 주장하시는 분들이 각자 대표에게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y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