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김치, 파오차이 아닌 신치” 중국어 표기 바로잡기 나선 중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명동 식당 46곳 중 42곳이 김치를 ‘파오차이’로 오역

중구, 메뉴판 점검해 직접 수정해

아시아경제

서울 중구는 김치를 중국어로 '파오차이(泡菜)'라고 잘못 표기한 식당 메뉴판에 ‘신치(辛奇)’로 표기된 스티커를 붙였다.(사진제공=중구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중구(구청장 김길성)가 김치의 중국어 표기를 바로잡기 위해 명동 내 식당 메뉴판을 점검하고, 올바른 김치의 중국어 표기 안내문을 배포했다고 31일 밝혔다.

우리 민족의 대표 음식인 김치는 중국어로 ‘신치(辛奇)’인데 중국인 관광객이 많은 명동 관광특구 내 대부분의 식당에서 이를 '파오차이(泡菜)'로 잘못 표기하고 있었다.

구는 지난 22~26일 소비자 식품위생 감시원 6명과 함께 명동 관광특구 내 음식점 157곳을 방문해 메뉴판을 점검했다. 점검 결과 중국어로 표기된 메뉴판을 사용하는 식당 46개 중 김치를 신치라고 올바르게 표기한 곳은 4곳에 불과했다.

구는 파오차이로 잘못 표기한 식당 42곳 중 39곳에서 메뉴판의 오역된 글자 위에 신치 스티커를 부착했다. 나머지 식당 3곳은 메뉴판을 새로 준비하기로 했다.

상인들은 “표기가 잘못됐는지 몰랐다”, “따로 비용 부담 없이 구청이 바로잡아주니 좋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구는 ‘올바른 김치의 중국어 표기 안내문’도 배부했다. 안내문에는 김치로 만든 음식의 올바른 중국어 표기법, 김치와 파오차이의 차이점 등의 내용을 담았다.

김치에 대한 국제표준은 2001년에 만들어졌으며, 당시 유엔 국제식량농업기구(FAO) 산하의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는 우리나라의 김치를 김치의 국제표준으로 인정한 바 있다. 파오차이는 중국의 절임 요리 중 하나로 김치와는 만드는 방법, 발효의 원리 및 먹는 방법 등이 전혀 다른 식품이다.

구 관계자는 “김치의 잘못된 표기는 자칫 우리 문화에 대한 왜곡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구가 직접 바로잡기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중구는 외식업중앙회를 통해 이를 지속적으로 홍보해 잘못된 표기를 뿌리 뽑겠다는 방침이다.

김길성 중구청장은 “세계적인 관광지 명동에서 우리 문화를 올바로 알리는 것은 중구의 의무”라면서 “앞으로도 잘못된 표기를 바로 잡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