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높은 집값에 ‘탈서울’...짐 싸서 어디로 가나 봤더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경이코노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 침체와 고령화 여파로 국내 인구이동률이 5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집값 오름세에 ‘탈서울’도 계속됐는데 서울을 떠난 인구 60%는 경기도로 향했다.

1월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2%, 1972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저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입신고 기준 국내 이동자 수는 612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만3000명(-0.4%) 줄었다. 인구이동이 줄어든 건 2021년(-6.7%), 2022년(-14.7%)에 이어 이번이 3년째다.

연간 이동자 수는 2021년부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2년 주택 거래가 얼어붙으면서 전년 대비 14.7%(106만1267명)나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에도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 주택거래가 일부 회복되면서 10월부터 12월까진 비해선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영향이 저조한 인구이동률의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20·30대 인구는 줄고 기동력이 약한 60세 이상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어서다. 실제 지난해 60대 연령층의 이동률은 7%로 이하로, 20대(22.8%) 30대(20.1%)보다 낮았다.

‘탈서울’ 현상은 가속화되고 있다. 서울은 1990년부터 2023년까지 34년째 인구가 순유출됐다. 지난해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 가운데 60.5%는 경기로 향했다. 서울뿐 아니라 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도 전출 1순위 지역이 경기였다. 대구와 경북, 부산·울산·경남, 광주와 전남 등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시도 간의 전입·전출이 많았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 4만7000이 순유입돼 전년보다 1만명 증가했다. 2017년(1만6000명)부터 7년째 인구가 순유입되고 있다.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4만5000명), 인천(3만4000명)의 영향이 컸다.

전체 인구이동 사유를 보면 주택(34%)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 가족(24.1%)과 직업(22.8%)이 꼽혀 총 이동 사유의 80%가량을 차지했다. 이밖에 교육(5.7%), 주거환경(5.1%) 등도 영향을 미쳤다. 지역별로 보면, 경남·대구 등 7개 시도의 주된 순유출 사유는 직업, 서울과 대전은 주택으로 나타났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