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집값 빠질 때"…작년 서울 아파트 4채 중 1채는 외지인 매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밀집 지역의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서울에서 매매된 아파트 4채 중 1채는 외지인이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매매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3만6439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서울 외 타지역 거주자의 매매 비중은 8955건으로 전체의 24.6%를 차지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높은 비중이다.

서울 아파트를 매입한 외지인 비중은 2018년 20.7%를 기록하며 처음 20%대를 돌파한 뒤 2019년 21.9%, 2020년 22.2%, 2021년 20.3%, 2022년 22.3% 등 대체로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외지인 매입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강북구로 나타났다.

지난해 강북구 아파트 매매 849건 중 외지인 거래는 306건으로 전체의 36.0%를 차지했다.

이어 관악구(35.2%), 마포구(30.6%), 강동구(29.3%), 송파구(29.2%), 용산구 (26.4%), 동작구(25.9%), 광진구(25.7%), 중구(25.6%), 강서구(24.7%) 등 순으로 집계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공급 부족과 집값 바닥 인식에 투자 성향이 강한 외지인들이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서울 거주자의 타지역 아파트 매매량은 2만1553건으로 전체의 5.2%를 차지해 2014년(5.1%)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