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장애 인식강사·사서보조…서울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제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경험 통해 직무역량 길러 민간 연계취업 목표…올해 250명 모집

기존 사업 폐지에 일부 단체 반발도…시 "장애인 일자리 더 늘어"

연합뉴스

서울특별시청
[촬영 이도흔]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서울시는 미취업 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장애 유형 맞춤형 특화일자리' 사업 참여자 250명을 모집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 4년간 운영해온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사업을 대폭 개편·보완한 것이다.

기존 권리중심 일자리는 노동시장에서 소외된 장애인을 위해 권익옹호, 문화예술, 인식 개선 등 분야에서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2020년부터 시행됐다.

하지만 직무가 집회·시위 등 캠페인 위주 활동에 편중돼 민간 일자리로 연계가 어렵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돼왔다.

실제 2020∼2022년 권리중심 일자리 직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캠페인이 절반 이상(50.4%)을 차지했다.

일각에서는 집회·시위에 집중된 활동이 장애인 인식에 되레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시는 권리중심 일자리 사업을 대폭 손질해 장애 유형별로 특화된 일자리 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한다.

장애 인식강사부터 키오스크 안내, 매장관리, 사서보조 등 장애 유형에 특화된 일자리를 공급해 사회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민간 일자리로도 연계할 방침이다.

시는 사업 기획 단계부터 중증장애인이 참여 가능한 직무 발굴을 독려하고, 장애인을 우선 채용하도록 사업자와 협약을 맺는 등 중증장애인 사회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특화형 일자리 제공 기관은 총 25개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취업을 원하는 기관에 개별적으로 구직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소득 수준, 장애 정도, 참여경력, 면접 평가 등의 기준에 따라 고득점자순으로 뽑는다. 선발되면 올해 12월까지 주 20시간 근무하며 월 최대 103만원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일부 장애인단체는 권리중심 일자리 사업 폐지로 장애인 400명이 일자리를 잃게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권리중심 일자리 사업은 1년 단위로 매년 시행됐던 보조금 사업"이라며 "매년 새롭게 사업자를 선정하고 참여자 선별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기존 참여자의 지속적 채용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 권리중심 일자리가 폐지된다 해도 다른 일자리 사업으로 장애인 일자리는 작년보다 늘었다고 시는 강조했다.

올해 서울시 전체 장애인 공공일자리 수는 4천748개로 작년보다 400개 증가했다. 시비 사업은 작년보다 150개 줄었으나 국비 매칭 사업(국비+시비)은 550개가 늘었다. 관련 예산도 27억3천400만원 증액됐다.

시는 어려운 재정 여건으로 올해 전체 예산을 지난해 대비 1조4천500억원 감액했음에도 장애인 복지예산은 1천263억원(8.4%) 늘렸다고 덧붙였다.

kih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