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경찰과 행정안전부

길었던 경찰 인사 마무리 수순…조직 안정화에 총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각종 사건·사고와 조직개편 등으로 유달리 길어졌던 경찰 인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 국민적 불안감이 커지면서 안정적인 치안 상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직 안정화가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조직개편을 통해 신설된 기동순찰대와 형사기동대의 역할 등에 관심이 쏠린다.

국민 불안 해소할까…이목 쏠리는 기순대·형기대
재정비를 마친 기동순찰대와 형사기동대 등 신설 조직이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 경찰청은 지난해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기동순찰대 28개대 2668명, 형사기동대 43개대 1335명을 배치했다.

기동순찰대는 관할 구역에 구애받지 않고 내부 범죄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범죄다발지역, 다중밀집장소 위주로 집중 투입된다. 형사기동대는 평상시에는 범죄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첩보 수집, 인지 등 외근 형사활동 및 중요 사건 수사에 집중한다.

경찰은 치안 수요가 급증하는 경우 기동순찰대나 형사기동대를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한편, 최근 정치인 피습으로 국민적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을 고려해 4·10 총선을 앞두고 선거 유세장 안전 확보, 주요인사 위해 방지 등에도 힘을 쏟기로 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공수사권 넘어왔지만…우려 섞인 안보수사국
간첩 등 국가보안법 위반 사건에 대한 수사 권한인 ‘대공수사권’이 국가정보원에서 지난달 경찰로 완전히 이관됐다. 국정원은 정보기관으로서, 경찰은 수사기관으로서 본연 임무에 집중한다는 방침이지만 초기 어느 정도의 시행착오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경찰청은 한 달이 넘도록 안보수사국 조직 구성에서조차 애를 먹었다. 상황이 이렇자 국정원의 주 업무이던 간첩 수사를 경찰이 제대로 소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국정원의 해외 첩보가 경찰의 수사까지 얼마나 잘 이어질지 미지수다. 경찰은 국정원과 꾸준히 협력해왔기 때문에 향후 우려하는 것만큼 문제가 생기지 않을 거라는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과 국정원이 협조를 잘 해왔고, 앞으로도 그간 협조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며 “국장급 정기회의를 만들고, 수시로 만나는 실무자 간 회의도 열어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경찰청은 전문성 있는 인력들을 선발해 수사역량 증대에 집중할 계획이다. 경찰의 전체 안보수사 인력이 지난해 724명에서 올해 1127명으로 늘었고, 최근에는 안보수사대 수사관 일부를 퇴출하면서 새 인물을 선발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또한 운영 중인 ‘안보수사관 자격관리제’를 활용해 전문 인력을 보강할 예정이다.

적응 기간 평소보다 촉박…총선 등 국가적 행사 코앞
19일 기준 경찰청은 대부분 인사가 마무리됐다. 일부 시·도경찰청 산하 일선 경찰서 인사가 끝나면 곧장 업무에 돌입한다. 다만 인사가 평소보다 늦게 이뤄진 탓에 업무 적응 기간, 이른바 ‘허니문 기간’은 예년에 비해 짧은 편이다.

조직개편으로 인한 인사이동의 폭도 컸다. 이번 정기인사 인원은 총경급 608명, 경정 이하 2657명 등이었다.

경찰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만큼 조직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100%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지만 나름대로 준비할 수 있는 시간 가졌다”면서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해 나갈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현장 치안력을 강화해 국민들이 평온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