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대한민국 저출산 문제

"저출산이라 의사 안 부족" 의료계에…정부 "고령화로 의료수요 폭증" 반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2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정례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저출산이어서 의사 수가 부족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사단체의 주장에 대해 구체적으로 반박했습니다.

오늘(22일)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의사도 고령화되므로 의대 증원 없이는 급증하는 의료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지난 20일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출생아가 70년대에는 연간 100만명이었으나 작년엔 25만명이었다"며 "출생아가 줄었기 때문에 현재 의대 정원을 유지하면 앞으로 (의사 비율이) 급격하게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박 차관은 "2035년 인구가 약 1.6% 감소하더라도 고령 인구의 증가로 의료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은 예정된 미래"라며 "2035년 65세 이상 인구 수는 현재보다 70%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그 결과로 2035년 입원일수는 45%, 외래일수는 13%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의사단체의 의사 수 추계는 문제가 있다"면서 "의사단체는 전년 대비 의사 수 증가율을 2010년부터 2020년까지 평균 증가율인 2.84%를 적용하고 있지만 의사 고령화로 은퇴 의사 수가 크게 증가하는 등의 최근 경향을 고려할 때 의사 수 증가율은 1.67%까지 낮아졌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2.84%의 증가율에는 한의사 증가율까지 반영되어 있다"며 "의사단체의 추계는 정확성에 문제가 있어 이미 여러 전문가가 지적한 바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JTBC

〈사진=보건복지부·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박 차관은 "지금까지는 의대 정원이 정체되어도 은퇴 의사보다 신규로 배출되는 의사가 많았기 때문에 의사 수는 증가해왔지만 앞으로는 베이비부머 세대 의사와 졸업정원제 적용을 받아 대거 배출된 의사들이 본격 은퇴하기 시작한다"고도 했습니다.

박 차관은 자료를 보여주며 "표를 보면 의사 증가율은 계속 감소하고 70세 이상 의사 비율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2035년 70세 이상이 되어 은퇴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원은 약 3만2천명으로 10년간 새롭게 배출되는 인원 약 3만명을 넘어선다. 신규 의사가 배출되는 것보다 의사 고령화로 이탈되는 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의미"라고 했습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5년 70대 이상 의사는 1만2019명이지만 2035년에는 3만2696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체 의사 16만5246명 가운데 19.7%가 70대 이상인 겁니다.

의사의 근로 시간이 줄어들고 있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박 차관은 "실태조사 결과 전공의 근무시간 80시간 상한 적용으로 전공의 주당 근로시간은 2016년 92시간에서 2022년 78시간으로 6년 새 약 14시간이 줄었다"며 "지금의 의사 공급 구조로는 급증하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의료 수요는 크게 늘어 의사가 늘어나더라도 해야 할 일은 많다"며 "일과 삶의 균형이 더 개선되고 사법 부담이 완화된 환경에서 소신껏 일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정부의 정책 방향임을 알아달라"고 덧붙였습니다.


김천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