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경찰과 행정안전부

경찰, YTN ‘이동관 방송사고’ 무혐의 종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국회의 탄핵안 처리를 앞두고 사퇴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해 12월 정부과천청사 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사퇴 기자회견에서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흉기 난동 사건을 보도하면서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사진을 사용하는 방송사고를 내 고소당한 YTN 임직원에 대해 경찰이 무혐의 판단을 내렸다.

서울 마포경찰서는 28일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수사해온 YTN 임직원 3명에 대해 불송치 결정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증거와 법리에 따라 수사한 결과 혐의 없음으로 종결됐다”라고 했다.

YTN은 지난해 8월10일 오후 10시45분쯤 경기 분당에서 발생한 흉기난동 사건을 보도하면서 배경화면(앵커백)에 당시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였던 이 전 위원장의 사진을 약 10초가량 띄웠다. 자막으로 ‘죄송하다면서 망상증세 최원종…사이코패스 판단 불가’라는 내용도 게재됐다.

YTN은 방송사고를 인정하며 두 차례에 걸쳐 사과했으나 이 전 위원장은 “고의성이 있다”면서 임직원들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이 전 위원장 측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YTN이 흠집내기성 보도를 해오던 중 방송사고가 발생한 점 등을 고려하면 명예훼손의 고의가 인정된다”고 주장했다. 이 전 위원장은 YTN을 상대로 법원에 3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제기했다.

이후 경찰이 지난해 9월 20일 보강수사를 이유로 YTN 소속 PD 등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하면서 ‘과잉 수사’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경찰이 신청한 압수수색 영장은 서울서부지검에서 반려됐다.

전국언론노동조합 YTN 지부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떠들썩하게 시작한 수사의 초라한 결말”이라고 비판했다. YTN 노조는 “경찰은 휴대전화를 임의제출해 달라는 요구조차 없이 언론사 기자들을 상대로 무턱대고 영장부터 들이댔다”면서 “현 정부 장관급 인사의 고소가 아니었어도 이런 과잉수사를 했겠는가. 이제라도 무리한 수사를 인정하고 반성하라”라고 했다.

YTN 노조는 “사태의 발단은 이동관을 앞세운 언론장악 시도”라며 “방송·통신 정책을 관장하는 이가 단순 방송사고를 명예훼손으로 확대해석하고 손해배상 소송까지 남발했다”라고 비판했다. YTN 노조는 이어 “일말의 양심이 있다면 손해배상 소송과 인사 검증 보도에 대한 다른 고소도 취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난해 8월 이 전 위원장은 YTN이 ‘배우자의 인사청탁 금품 수수 의혹’을 보도한 것에 대해서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 이와 별도로 5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도 냈다. 경찰 관계자는 “고소인과 피고소인 조사는 마친 상태”라며 “법리적 검토만 남겨두고 있는 마무리 단계”라고 했다.


☞ YTN 노조 “단순 실수 방송사고에도 압수수색하는 언론탄압 중단하라”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09191449001


강은 기자 eeu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