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기업 67% "올해 신규채용 계획있다"…경력직 선호도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총, 500개사 대상 실태조사…기업 61% "수시 채용만 실시"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로 '직무 관련 업무 경험' 꼽아

연합뉴스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총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한상용 기자 = 국내 기업 67%가량은 올해 신규 채용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들 사이에서 경력직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고, 채용 시 중요 평가요소로는 '직무 경험'을 가장 많이 꼽았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024년 신규채용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응답 기업 66.8%가 신규 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1월 10∼29일 100인 이상 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이뤄졌다.

이어 신규 채용 여부가 결정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22.2%, 신규 채용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11.0%였다.

연합뉴스

2024년 신규채용 규모
[경총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신규 채용 실시 예정 기업 중 57.5%는 올해 채용 규모가 '작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작년보다 확대'는 14.7%, '작년보다 축소'는 8.7%로 각각 집계됐다.

'신규 채용 계획은 있지만 규모 미확정'이라는 응답은 19.2%였다. 기업 규모가 크면 클수록 '채용 규모 미확정' 응답 비중이 높았다.

신규 채용 방식에 대해서는 '수시 채용만 실시'라는 응답이 60.6%로 가장 많았다. '정기 공채와 수시 채용 병행'은 32.2%, '정기 공채만 실시'는 7.2%의 응답률을 보였다.

수시 채용의 경우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수시 채용만 실시'라고 답한 비중이 높았다. 또 채용 계획 결정 시점을 묻는 항목에서는 62.0%가 '특정 시점 없이 수시로 파악·결정'이라고 답했다.

연합뉴스

신규채용 시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
[경총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신규 채용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로는 응답 기업의 74.6%가 '직무 관련 업무 경험'을 꼽았다. 이어 '인성과 태도'(9.4%), '직무 관련 전공'(6.2%), '직무 관련 자격증'(5.4%) 등의 순이었다.

올해 채용시장에서 최대 변화 전망을 묻는 문항(복수응답)에서는 '경력직 선호도 강화'가 56.8%로 가장 많았고, '수시 채용 증가'가 응답률 42.2%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구직 포기 또는 리텐션(이직 자제) 현상 증가'(12.0%), '미래 신산업 관련 인재 채용 증가'(11.0%), '인공지능(AI) 활용 확대'(9.8%) 등의 답변도 나왔다.

최윤희 경총 청년ESG팀장은 "기업이 채용 과정에서 구직자의 직무 경험을 중시하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다"며 "기업 주도 직업 훈련이 청년의 고용 가능성을 강화하고 있는 만큼 고용서비스와의 발전적 연계와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gogo21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