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오늘의 미디어 시장

OTT 영향력 확대, 유료방송시장 성장 동력 둔화로 이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국내 유료방송시장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온라인동영성서비스(OTT) 영향 등에 따라 성장 동력은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방송통신위원회가 공개한 '2023년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를 보면, 지난 2022년 기준 현재 유료방송 가입자는 3629만(단자 수 기준)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구분하면 인터넷(IP)TV 가입자가 증가한 반면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가입자의 경우 감소 추세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IPTV 가입자 수는 전년 대비 3.9% 증가한 2067만을 기록했고 SO 가입자 수는 전년 대비 1.5% 감소한 1268만을 기록했다.

병원, 호텔 등 복수가입자 증가에 따라 유료방송 가입자는 증가했으나, 일반가구가 주로 포함된 개별 가입자 규모는 1650만(2022년 하반기 평균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했다. 이에 따라 유료방송시장 전체 가입자 증가율도 감소했다.

IPTV 3사 계열이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의 86.5%를 차지하는 등 여전히 시장집중도가 높은 상태이나, OTT 성장에 따른 경쟁 압력 증가로 VOD 매출은 전년 대비 3.0% 감소했다. 유료방송사업자의 월간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ARPU)이 하락(IPTV 2021년 1만3621원 → 2022년 1만3312원, SO 2021년 9123원 → 2022년 8799원)하는 등 과점화에 따른 유의미한 가격인상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방통위는 "유료방송시장의 경우 가입자 및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나 개별가입자 감소, VOD 매출 감소 등 OTT 경쟁 압력 강화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유료방송서비스의 낮은 요금, 방송통신 결합상품 가입 등의 영향으로 가입 측면에서의 대체가 단기간 내에 나타날 가능성은 높지 않으나, OTT 경쟁 압력 증가로 유료방송사업자의 ARPU 증가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