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3 (금)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월급 180만원 받아 월 30만원 저축… 집값에 짓눌린 상경의 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태일 재단-조선일보 창간 104주년 공동 기획]

[12대88의 사회를 넘자] [6] 청년 노동자의 주거비 고통

조선일보

직장을 찾아 서울로 올라온 젊은이들이 주거비용과 전세사기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물리치료사로 서울에 취업한 A양이 거처할 집을 찾고 있다./이덕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사 유정인(가명·28)씨는 2019년 봄 상경한 직후 서울 금천구의 한 병원에 취업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그를 기다리는 것은 적은 월급과 높은 주거비와의 계속된 전쟁이었다. 첫 직장의 월급은 180만원. 하루 8시간 일하는데, 유씨와 동료 1명이 하루 평균 환자 100명 안팎을 받아야 했다. 성과급을 주는 도수 치료 등을 많이 하면 돈을 더 모을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한 달에 나오는 성과급은 10만~20만원 정도였다. 그 와중에도 월세는 따박따박 50만원씩 나갔다.

그는 처우가 조금이라도 나은 병원을 계속 찾아봤고, 월세를 20만원이라도 덜 내려고 반년쯤 친척집에서 월 30만원을 내고 얹혀살기도 했다. 겨울에 난방을 덜 때본 적도 있다. 그렇게 지난 5년간 이사만 3번을 했다.

작년 말 약 4년의 경력을 인정해주는 병원을 찾았다. 주 6일 기준 연봉이 3400만원이 됐다. 금리 2%의 정부 청년 정책 대출 1억2000만원을 받아 전세금 1억5750만원짜리 5.5평 원룸도 구했다. 안도한 것도 잠시, 지난달 공인중개사가 “집주인이 갭투자를 하다 파산했다”고 전했다. 그는 “전세 보증보험을 들어놨기에 망정이지만 집 문제가 끊임없이 나를 괴롭힌다”고 했다. 그러나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월 100만원씩 꿋꿋하게 모아볼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에는 주거비가 수도권보다 더 저렴하고 오히려 청년 구인난을 겪는 견실한 지역 중소기업 등도 적지 않다. 본지가 최근 만난 상경 청년들은 이런 곳은 대기업의 협력사인 경우가 많거나 상대적으로 영세해 “불안하다”고 했다. 수도권과 달리 지역 인구가 줄어드니 교육이나 연수, 강연 등의 여러 기회도 적다. 한창 호기심이 왕성한 나이에 수도권에 주로 있는 문화 경험에 대한 동경도 크다.

조선일보

그래픽=양진경


서울 마포구에서 미용사로 일하는 최재희(가명·29)씨도 마찬가지다. 그는 경남의 한 3년제 대학 뷰티디자인과를 졸업하고 4년 전 서울에 왔다. 그가 미용실에서 하루 10시간 주 5일 일해 버는 돈은 월 280만원이다. 서울 마포구에 있는 방 3개 18평짜리 아파트에 3명이 살면서 보증금 2000만원 월세 100만원을 나눠 낸다. 상경 초기에 생활비 등으로 생긴 약간의 빚을 조금씩 갚으며 빠듯하게 산다. 하지만 그는 “서울에 오길 잘했다”고 말한다. 트렌드를 주도하는 유명한 미용실이 주로 서울에 있어 경력을 높게 평가받을 수 있고 미용 기술을 배울 기회도 많다고 했다. 재희씨는 “지금은 힘들지만 고객들의 마음을 알아주는 디자이너가 돼 내 가게를 차리는 게 꿈”이라고 했다.

노력한다면 최씨는 꿈을 이룰 것이다. 하지만 그가 결혼과 육아를 결심한다면 그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주거비의 벽이 높아서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작년 서울 지역 방 2~3개짜리 집의 전세금은 평균 2억3690만원이다. 현재 목돈이 없는 그가 홀로 월 200만원씩 모은다고 해도 온전히 전세금을 마련하는 데만 10년이 걸린다. 가정을 이루려면 자가가 있는 배우자를 만나는 것 같은 ‘운’에 기대야 한다는 뜻이다.

주거비와의 전쟁에서 결국 꿈을 접고 낙향하는 청년도 적지 않다. 지방의 한 국립대를 졸업한 한아름(가명·35)씨는 2015년 고향 근처에서 한 중소기업에 입사했지만 1년 반 만에 그만두고 2018년 상경해 서울의 한 특허사무소에 변리사 보조로 취업했다. 월급은 200만원 초반으로 이전 회사와 비슷했지만 경험을 쌓는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회사 근처 원룸에서 월세 45만원에 관리비 10만원 안팎을 내며 살아보니 남는 게 없었다. 한씨는 “그달 벌어 그달 다 쓰는 ‘하루살이’ 생활이었다”고 했다. 결국 그는 고향으로 돌아와 부모님 집에 살며 가까운 중소기업에 취업했다. 한씨는 “집값만 아니면 지금도 서울에서 일하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팀장=정한국 산업부 차장대우

조유미·김윤주 사회정책부 기자

김민기 스포츠부 기자

한예나 경제부 기자

양승수 사회부 기자

[특별취재팀]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