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매화축제가 개막한 8일 전남 광양시 매화마을을 찾은 상춘객들이 봄 기운을 만끽하고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남 광양시 다압면 섬진강변에서 열리는 매화축제에는 올해도 어김없이 희고 붉은 매화가 만발했다. 주말인 16일 축제장은 완연한 봄기운을 즐기기 위해 몰린 8만 명의 인파로 붐볐다. 23회째를 맞은 매화축제에서 매년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하지만, 이번 축제 때부터 사라진 게 있다. 바로 일회용품이다.
━
“시음할 때도 종이컵 대신 소주잔”
광양매화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이 사용한 다회용기를 반납하고 있다.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8일 개막한 광양매화축제는 올해부터 일회용품을 쓰지 않는다. 음식 부스에서는 다회용기에 음식을 담아 제공하고, 방문객들은 사용한 접시나 컵, 밥그릇 등을 종류별로 반납해야 한다. 전현진 광양시청 자원순환과 주무관은 “입점 업체 공고를 할 때부터 일회용품을 사용할 수 없다고 명시했고, 하루에 최대 5만 개의 다회용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음료 시음을 할 때도 종이컵 대신 소주잔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
축제 쓰레기 3분의 1로 줄어…“24톤 감축 예상”
광양매화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이 사용한 다회용기를 반납하고 있다.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회용품을 없애자 효과는 바로 나타났다. 광양시에 따르면, 축제 첫 주말이었던 9일 하루 동안 2020㎏의 쓰레기가 발생했다. 1년 전 축제 첫 주말이었던 3월 11일에 발생한 쓰레기(5400㎏)보다 63%가량 적은 양이다. 1년 만에 쓰레기가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다.
━
5000원 양은 도시락 순식간에 완판
광양매화축제에서 인기를 끈 추억의 양은 도시락. 5000원에 판매됐다. 광양시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축제장에서 퇴출당한 건 일회용품만이 아니다. 악명 높았던 바가지요금도 사라졌다. 광양시가 입점 업체를 선정할 때 가격을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반영했기 때문이다. 계란 프라이에 소시지·멸치볶음·매실 장아찌 등 5개가 넘는 반찬을 담은 5000원짜리 양은 도시락은 일찍 재고가 소진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
도내 22개 축제 다회용기 지원…“친환경 축제 자리매김할 것”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구례 산수유축제.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구례 산수유 축제 등 전남도 내 다른 축제들도 일회용품 없는 축제를 진행하거나 계획 중이다.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과 전라남도는 올해부터 예산 지원 등을 통해 일회용품 사용을 최소화하는 ‘일회용품 없는 축제 만들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시군별 대표 축제 1곳씩 총 22개 축제를 대상으로 행사장 안에 다회용기를 공급하고 수거·세척 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