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8 (일)

경쟁률 100:1 넘는다더니…청년안심주택, 잦은 ‘추가모집’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2곳 중 ‘9곳’이 제때 계약 못 해 추가모집

민간 임대 물량 절반이 잔여세대로 남기도

서울시 대표 청년주거복지 사업인 ‘청년안심주택’이 계약자를 제때 구하지 못해 대부분 추가모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임대료가 원인이다.

26일 경향신문이 청년안심주택 홈페이지에서 2023년 4월~2024년 2월 공급돼 사용승인이 난 청년안심주택 12곳의 입주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입주예정일 이후 잔여 세대가 발생해 추가 모집을 진행한 곳은 9곳이다. 이 중 두 곳은 3차 모집까지 진행했다.

청년안심주택은 무주택 청년 또는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해 공공의 지원을 받아 민간이 건설하고 대중교통 중심 역세권에 공급하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다. 용적률 완화 등 혜택도 받는다. 공공임대 가구와 공공의 지원을 받은 민간임대 가구로 나뉘는데, 공공 물량은 서울도시주택공사(SH)가 매입해 시세의 30~70%, 민간 물량은 75~85% 수준으로 공급한다.

추가 모집분은 주로 민간 물량에서 발생했다. 가장 최근 추가 모집한 신대방삼거리역 골든노블레스는 민간 87가구 중 6가구가 대상이었다. 문정역 마에스트로도 민간 285가구 중 3가구, 선릉역 마에스트로는 민간 217가구 중 34가구, 신림역 최강타워는 민간 259가구 중 81가구를 추가 모집했다.

동묘앞역 청계로벤하임은 민간 123가구 가운데 절반 수준인 61가구를 첫 계약에서 입주를 성사시키지 못해 추가 모집했다. 그런데도 공실을 모두 채우지 못해 3차 모집까지 갔다.

다음 달 입주를 앞두고 최근 계약을 진행한 노량진역 청년안심주택도 추가모집은 아니나, 첫 계약에서 당첨 포기자가 다수 발생해 예비 당첨자를 대상으로 선착순 계약 알림을 보내기도 했다.

경향신문

청년안심주택 예비자 모집 문자. 독자 제공


입주예정자의 상황 변화로 첫 계약이 성사되지 않는 경우는 일반분양 시장에서도 종종 일어난다. 하지만 청년주택의 경우 최근 높아진 주거비 부담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4월 청년안심주택의 임대료를 주변 시세 85~95% 수준에서 75~85%로 낮춘다고 발표했으나, 입주자들이 체감하는 비용 수준은 여전히 높다.

역세권청년주택의 일반공급 기준 17㎡(약 5평) 가구는 보증금이 5000만원~1억원, 월세는 35만원~60만원 사이다. 여기에 10만원 안팎의 관리비가 더해진다.

노량진역 청년안심주택 인근 부동산에 문의한 결과 이 지역 17㎡ 기준 일반 구축 원룸 평균 시세는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50만원, 관리비 3만원 정도다. 오피스텔형의 경우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70만원이다.

초역세권에 신축인 청년안심주택이 시설 수준은 월등하지만 가격 경쟁력을 갖추진 못한 셈이다. 일부 청년안심주택은 시행사의 근저당 문제로 버팀목 대출 등 일반 대출이 실행되지 않을 우려도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는 잔여 세대가 결국 채워지기 때문에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공공 물량의 경우, 당첨자 다수가 다른 주택 지원도 받고 있다보니 취소율이 높다고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민간의 경우는 시세보다 저렴해도 역세권 자체의 가격이 높다. 서울시에서 무이자 지원을 해도 (보증금을) 맞추지 못하는 사례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 은행은 대출 꺼리고, 주거비 큰 부담…문턱 높은 청년안심주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84713?sid=102


고희진 기자 goji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온전히 나로 살 수 있는 ‘자기만의 방’, ‘방꾸’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