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국방과 무기

한·미 ‘강화된 차단 TF’ 출범··북핵·미사일 개발 자원·자금 차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6일 워싱턴서 관계부처 담당자 등 30여명

북한 정제유 반입 현황과 차단 방안 집중 협의

경향신문

한미는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양국 외교·정보·제재·해상차단 담당 관계부처 및 기관 담당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한미 ‘강화된 차단 TF(Enhanced Disruption Task Force)’ 회의를 열었다. 사진 외교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이 북한 핵·미사일 개발 등에 필요한 핵심 자원과 자금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협의체를 출범시켰다.

외교부는 한·미가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양국 외교·정보·제재·해상차단 담당 관계부처 및 기관 담당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차 한·미 ‘강화된 차단 TF(Enhanced Disruption Task Force)’ 회의를 열었다고 27일 밝혔다.

이준일 외교부 북핵외교기획단장과 미측 린 드베보이스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 대행이 수석대표로 참석한 첫 회의에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상 유류 반입 제한을 초과한 북한의 정제유 반입 현황과 차단 방안을 집중 협의했다. 유류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군비 태세에 필수 자원이다.

국제사회는 2017년 유엔 안보리 결의 2397호를 통해 북한으로 반입되는 유류의 양을 원유 400만 배럴, 정제유 50만 배럴로 각각 제한했으나, 북·러 밀착 움직임 속에 ‘제재 구멍’이 나타나고 있다. 안보리 대북제재위 전문가 패널은 지난 21일 공개한 연례보고서에서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북한이 약 150만 배럴 이상의 정제유를 반입한 것으로 추정했다.

한·미 양측은 북한이 밀수 중인 정제유의 상당 부분이 역내 기업 및 개인과의 불법 협력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같은 불법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북 정제유 밀수에 연루된 개인 및 기업에 대한 독자제재를 적극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또 양측은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에 따라 러시아가 북한에 정제유를 제공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우려를 표하고, 북·러 불법적 협력을 중단시키는 방안도 협의했다.

양측은 연내 적절한 시점에 서울에서 제2차 회의를 열기로 했다. 차기 회의에서는 대북 정제유 밀수 차단 공조 강화 방안과 북한의 석탄 밀수출 등 불법 자금원 조달 차단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박은경 기자 yama@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온전히 나로 살 수 있는 ‘자기만의 방’, ‘방꾸’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