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이슈 제 22대 총선

공영운 36% 이준석 21% 한정민 15%… 화성을 2030, 李 지지? 이탈?[총선 여론조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 화성을>
가장 젊은 지역구, 민주당 강세 재확인
이준석, 정치 신인 사이 20% 지지율 유지
2030 지지율 1위… 남성 편중 등 한계도
흔들리는 李 지지층, '3지대' 설득력 관건
한국일보

경기 화성을에 출마한 공영운(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준석 개혁신당, 한정민 국민의힘 후보가 10일 경기 화성 인근에서 열린 조기축구회 안전기원제에 참석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서재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10 총선에서 경기 화성을 승부는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지지층의 '변심 여부'에 따라 갈릴 전망이다. 2030세대에서 우위를 보인 이 후보는 '인물론', 다른 거대 양당 후보들은 '당 지지율'에서 강점을 보였다. 다만 이 후보의 경우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조사(23~26일)한 결과 공영운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6%로 이준석 후보(21%), 한정민 국민의힘 후보(15%)를 앞섰다. 23%는 '아직 투표할 후보를 정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화성을은 동탄2신도시 대부분의 지역을 아우르는 젊은 '베드타운'이다. 평균연령이 34.7세로 전국 254개 지역구 중 가장 낮다. 이원욱 개혁신당 화성정 후보가 민주당 계열 후보로 최근 세 차례 총선을 내리 이겼고, 지난 대선에서도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9.2%포인트 차이로 누른 진보 강세 지역이다. 공 후보에게 유리한 부분이다.

화성을은 기성 정치인 이 후보와 대기업 출신 신인 정치인 공 후보, 한 후보가 맞붙었다. 이를 반영하듯 후보 선택 요인에서 이 후보는 '인물'(37%)이 '소속 정당'(6%)을 압도한 반면, 공 후보와 한 후보는 '소속 정당' 답변이 각각 63%, 61%에 달했다. '인물'을 꼽은 응답은 공 후보 9%, 한 후보 15%에 그쳤다.

보수층에서 한 후보 지지는 39%, 진보층의 공 후보 지지는 60%로 비교적 결집력이 낮은 점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자신을 보수 성향이라고 답하면서도 국민의힘 한 후보를 지지하지 않은 응답자의 경우 '이준석 지지' 20%,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25%로 나뉘었다.

이 후보는 18~29세에서 25%, 30대에서 33%의 지지를 받아 다른 후보들보다 높았다. '이대남(20대 남성)' 중심 팬층이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공 후보와 한 후보 지지층은 남녀 차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이 후보는 남성 지지율(27%)이 여성 지지율(16%)의 2배에 육박해 편중된 형태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가장 비중이 큰 40대에서 이 후보 지지율이 19%로 급락해 공 후보(51%)에게 크게 밀렸다.

화성을 선거의 주요 변수는 이 후보가 '제3지대' 대안으로서 얼마나 설득력을 갖는지다. 그래야 실제 유권자의 선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 후보 지지층은 '상황에 따라 바뀔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이 공 후보 지지층(13%), 한 후보 지지층(15%)보다 2배 이상 높은 36%로 조사됐다. 개혁신당 지지율이 반등 기미가 없는 상황에서 후보에 대한 판단을 확신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들이 이 후보 지지를 끝까지 유지할지, 반대로 거대 양당 심판을 원하는 유권자들이 이 대표 중심으로 결집할지 여부에 성패가 달려 있는 셈이다.
한국일보

경기 화성을 총선 후보 지지율. 그래픽=강준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론조사 어떻게 했나
이번 여론조사는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경기 화성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514명을 대상으로 했다. 전화 면접조사 방식으로 3월 23~26일 실시했다. 3개 통신사에서 제공된 휴대전화 가상(안심) 번호 무작위추출을 사용했고, 응답률은 11.6%였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2월 발표한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지역ㆍ성ㆍ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3%포인트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정준기 기자 joo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