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3 (금)

이슈 세계 속의 북한

"평양으로 간다" 북한 망명 위해 납치된 항공기…내린 곳은 김포? [뉴스속오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집자주] 뉴스를 통해 우리를 웃고 울렸던 어제의 오늘을 다시 만나봅니다.

머니투데이

1970년 3월 31일 요도호 납치 사건 당시 뉴스 영상 /사진=유튜브 채널 'KTV 아카이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70년 3월 31일 오전 7시, 도쿄 하네다 공항을 출발해 후쿠오카 공항으로 가던 일본항공(JAL) 351편, 이른바 요도호가 후지산 상공을 이동하던 중 일본도와 권총, 폭탄 등의 무기를 가진 괴한들에 의해 납치됐다.

괴한들은 항공기관사를 인질로 하여 기장과 부기장에게 북한의 수도인 평양으로 향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요도호가 도착한 곳은 평양이 아닌 김포였다.


"평양 가라" 지시에…"국내선이라 연료 없다"

머니투데이

/사진=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방송화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요도호 납치사건은 일본 극좌행동주의 조직 적군파(赤軍派)의 조직원 9명이 주도했다. 적군파는 1970년대 활동한 일본의 좌파 테러단체로, 폭력제일주의를 주장했다.

적군파 조직원들은 승객 122명과 승무원 7명 등 129명이 타고 있던 요도호를 공중 납치해 평양으로 갈 것을 요구했다.

이때 기장은 기지를 발휘해 "이 비행기는 국내선이라 북한까지 갈 연료가 없다"고 범인들을 설득했다. 요도호는 연료 보충을 위해 후쿠오카 공항으로 향했고, 일본 경찰이 자위대를 보내 활주로를 막는 등 공작을 펼쳤으나 오히려 범인들을 자극시키는 불상사를 초래했다.

다행히 기장의 설득으로 범인들은 여성, 노인, 어린이, 환자를 포함한 승객 23명을 풀어줬다. 그리고 비행기는 다시 평양으로 향했다.


"여기는 평양" 남하 유도→'평양 도착 환영' 위장 공작

머니투데이

1970년 3월 31일 요도호 납치 사건 당시 뉴스 영상 /사진=유튜브 채널 'KTV 아카이브'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일본 교통성으로부터 항공기 납치 소식을 전달받은 상태였다. 이에 우리 정부와 김포 공항 관제탑은 항공기를 평양이 아닌 김포 국제공항으로 유도하여 착륙시켰다.

요도호가 김포 국제공항에 착륙했을 때, 소수의 대한민국 국군은 조선인민군 병사의 복장을 하고 '평양 도착 환영'이라고 적힌 현수막을 내거는 등 위장 공작을 실시했다.

그러나 범인들 중 한 명이 영어로 "여기가 서울이냐"고 물어봤을 때, 군인 한 명이 "그렇다"고 답하면서 김포라는 사실이 발각됐다. 다만 이와 관련해서는 범인들이 김일성 사진을 가져올 것을 요구해 간파당했다는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이후 일본 정부 측에서 급파된 인사들과 한국 정부, 납치범들간 사흘에 걸친 교섭 끝에 탑승객 전원을 석방하는 대신 당시 운수성 정무 차관이었던 야마무라 신지로를 인질로 잡고 북한으로 넘어가기로 합의했다.


결국 도착한 평양…이후의 삶은?

머니투데이

요도호 납치사건 범인들 /사진=일본 hatenablog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월 3일, 요도호는 평양에 도착했다. 북한 측은 범인들의 무장 해제를 요구했는데, 범인들이 당시 지니고 있던 무기들은 알고 보니 장난감이나 모조품 등이었다.

북한은 범인들의 망명을 받아들였고, 그로부터 이틀 후 요도호는 승무원들과 야마무라 운수성 정무차관을 태우고 귀환했다.

범인들은 북한에 정착하면서 주체사상을 받아들였다. 납치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진 이들 가운데 일부는 일본과 태국 등에 활동하다가 체포되기도 했다.

머니투데이

요도호 납치사건 범인들의 SNS 계정 /사진=트위터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건 당시 16세였던 1명은 1988년 일본에 잠입해 지하활동을 벌이다 유일하게 체포돼 형기를 마치고 석방됐으며, 1명은 2000년 6월 태국에서 달러 위조 혐의로 체포되어 일본으로 송환돼 재판받았다.

일본 공안당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북한에는 범인 9명 중 4명이 생존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일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북한 홍보 영상에도 출연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북한에서의 삶이 행복하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알리기 위해 북한 측 감시 속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차유채 기자 jejuflower@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