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출소자 취업지역 분석...수도권 36% 불과
지방 중소기업 인력난·대인관계 기피 심리가 원인
지방 중소기업 인력난·대인관계 기피 심리가 원인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 모습. 기사와 상관없는 사진. <사진=Pixabay>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출소 후 경상도에 위치한 한 제조 중소기업에 취직한 30대 A씨. 그는 “원래 고향은 경기도인데 수감생활을 하다보니 사람이 싫어졌고, 인간 관계에 회의감도 들어 사람 많은 곳에 살고 싶지 않았다”며 “배운 것도 마땅히 없는 터라 그냥 바로 일할 수 있는 회사, 머리 안 쓰고 일할 수 있는 회사에 취직하게 됐다”고 말했다.
출소자들이 출소 후 수도권 지역에서 취업한 비율이 굉장히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지방 중소기업 인력난과 일반인과 교류를 꺼리는 출소자 특유의 심리가 반영된 현상이라는 전문가 분석이 나온다.
1일 매일경제가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올해 2월까지 취업한 출소자는 총 2만4345명이었는데, 취업자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 3412명 △경기도 5390명 △강원도 1734명 △충청도 3927명 △전라도 3255명 △경상도 6627명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에서 취업한 출소자는 총 8802명으로, 전체의 36.2%에 불과했다.
이는 전체 중소기업 종사자의 지역별 분포와 비교해 보면 한참 낮은 수준이다. 중소벤처기업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전국 중소기업 종사자는 총 1849만3000명이었고, 수도권 종사자는 1004만5000명이었다. 수도권 비중이 54.3%에 달한다.
이에 대해 박지순 고려대 노동대학원장은 “출소자는 수감기간 동안 고급 교육을 받거나 제대로 된 취업 준비를 하기가 어려워 고차원적인 기술을 요하지 않는, 비교적 일자리를 구하기 쉬운 제조 중소기업에 많이 취업한다”며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는 지방 중소기업은 직원을 뽑으려는 수요가 더 많고 그에 따라 일자리가 더 많이 있어서 출소자 접근성이 높아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법무부는 출소자를 비롯한 보호 대상자를 직접 고용한 실적이 있는 기업 중 일부를 ‘법무부 일자리 우수기업’으로 선정해 왔는데, 제조업체 비중이 압도적이다. 현재 법무부 일자리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 77곳 중 56곳이 제조업체다.
출소자가 수도권 지역에서 취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데는 범죄심리학적인 원인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김상균 백석대 경찰학과 교수는 “출소자들은 사람 눈을 피해서 살고 싶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수도권 지역에서 취업을 꺼렸을 것”이란 분석을 내놨다.
김 교수는 “출소자는 일반인보다 충동적이고 감정적으로 행동을 하는 경향이 크고, 어렵거나 정기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끈기와 집중력도 부족한 경우가 많다”며 “게다가 범죄행위로 인한 낙인 효과 탓에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제대로 하지 못해 사람을 기피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따라서 출소한 후에는 사람이 많은 수도권보다는 사람과 대인관계를 맺거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덜 해도 되는, 인구가 비교적 적은 지방에서 취업을 하려는 동기가 컸을 것”이라 덧붙였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이사장을 역임한 바 있는 최운식 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는 “기업과 출소자 모두 수도권에서 취업하고자 하는 니즈가 적다”고 말했다. 최 변호사는 “특히 서울은 취업자가 기본적으로 많다보니 기업이 출소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며 “출소자도 서울에서 일하는 걸 꺼리는 경향이 있는데, 지방과 달리 또래집단이 많고 유흥업소도 많아 범죄 유혹에 휘둘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