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정치계 막말과 단식

[4·10총선 취재후기]심판론·의혹·막말 난무했지만, '그럼에도' 국민은 위대했다[2024 총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좌) 제22대 총선일 전날인 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오영환 새로운미래 총괄상임선대위원장과 본지 김예지 기자(오른쪽)가 기념촬영하고 있다. (우) 지난 8일 여의도 우체국 앞에서 열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서울 영등포을 김민석 후보 지지유세 현장에서 취재에 열중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역대급 비호감 선거', '네거티브 공방 빼면 아무것도 없는 선거', '막말과 선동이 난무한 선거'. 이번 22대 총선에 대해 나오는 여러 말들이다. 하지만 감히 여기에 한 가지를 덧붙이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표를 포기하지 않은 국민의 위대함을 확인하게 해 준 선거'.

총선 TF에 발령이 난 후 현재까지 하루하루가 놀라움의 연속이었다. 거대 양당 대표들과 후보들은 정부 또는 상대 당의 과거를 들춰 '정권 심판론'과 '범죄자 심판론'을 내세우며 '쓰레기', '계모' 등 막말을 늘어놓기에 바빴고, 미래에 대한 약속은 자취를 감췄다. 자고 일어나면 후보들의 편법대출·아빠찬스 의혹, 각종 막말이 등장했으며 정책 경쟁 대신 이에 대한 공세와 방어, 또 다른 역공만이 반복됐다. 아무리 선거가 우위 선점을 위한 총성 없는 싸움이라 해도, 분명 정치의 사전적 의미는 '국민의 인간다운 삶 영위와 사회 질서 개선을 위한 활동'인데 정도를 벗어나도 지나치게 벗어났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피로감이 유권자들, 특히 원래도 정치에 관심이 없거나 혐오하던 청년층의 투표 의지를 더욱 저해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은 중앙선관위의 유권자 의식조사를 보고 확신으로 굳어졌다. 적극적 투표 의향을 보인 18~29세 응답자가 52.3%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았고, 지난 총선 때보다도 0.5%포인트(p) 감소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생각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였다는 사실을 깨닫기까지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실제로 2030세대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본 결과, "진흙탕 정치가 우리로 하여금 오히려 더 많이 투표하도록 한다"는 것이 이들의 중론이었다. 한 30대 직장인은 "(혐오정치, 막말 등) 그런 많은 이유들이 있더라도 투표는 무조건 해야 한다. 선거를 잘한다고 해서 세상이 한 번에 많이 바뀌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이 정치에 관심을 갖지 않으며 무지한 채로 살다 보면 늘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다)'인 상태로 진짜 패배자가 될 수밖에 없지 않나"라고 말하기도 했다. 아무리 한국 정치인들의 의식이 퇴행했더라도 이런 '의지의 한국인'들이 있다면 대한민국의 미래가 밝다는 것을 느낀 순간이었다.

그렇기에 이번 선거가 각종 심판론, 의혹, 막말, 선동뿐인 선거가 아닌 '모든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투표장으로 향한 국민들이 있었던 선거로 기록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또한 정치인들이 말로만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을 외치는 것이 아닌, 진정으로 국민을 두려워하며 보다 나은 정책을 내놓는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