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8 (수)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안갯속' 금리인하 시기에...집값 양극화 더 심화될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주경제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던 부동산 시장에 '금리 리스크'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미국의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계속되면서 연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떨어지면서다. 업계에서는 당초 6월로 예상됐던 금리인하 시기가 늦춰질 경우 최근 회복세를 보인 주택시장 분위기가 다시 가라앉을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금리가 유지될 경우 금리 영향이 비교적 크지 않은 서울, 특히 강남권과 그 외 지역 간의 집값 양극화가 더욱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10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12일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지난 2월까지 9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에 나선 금통위가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현 3.50%로 유지할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하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선제적인 금리 인하 단행이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에 국내 주택시장 전망도 안갯속이다. 금리 인하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면 회복 조짐을 보이던 주택 시장 흐름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의 주택 시장은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미세하나마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 결과 4월 첫째주 서울 아파트값은 0.2% 올라 2주 연속 상승했다. 지난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88.5로 전주(87.5)대비 1.0포인트(p) 상승하면서 기준선(100)에 근접하고 있다.

반등세를 보이는 주택 시장에 금리는 흐름을 좌우할 주요 변수로 지적된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연내 금리 인하로 인한 주택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며 "하지만 최근 금리 인하 시기가 불투명해지면서 시장 회복 흐름이 강해지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설명했다.

향후 서울 강남권과 나머지 지역 간의 집값 양극화가 더욱 심화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강남권의 경우 상대적으로 금리 변화에 덜 민감한 데다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있어 수요가 몰리고 있어서다.

이미 지역별 가격편차는 벌어지고 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대치 삼성 1차' 전용면적 59㎡는 최근 신고가인 18억9000만원에 거래됐고,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 98㎡도 2월 신고가인 27억5000만원에 손바뀜되는 등 ‘강남 3구’에서는 신고가가 속출하는 모습이다.

반면 4월 첫째주 도봉구(-0.05%), 금천구(-0.03%), 노원구(0.02%), 관악구(-0.02%) 등 서울 외곽 지역은 가격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 기간 경기 지역 아파트값도 0.03% 떨어졌고, 지방도 △세종 -0.35% △대구 -0.06% △부산 -0.06% △전북 -0.06% △제주 -0.05% △충남 -0.05% 등 대부분 지역이 하락세를 보였다.

상·하위 아파트 가격 격차도 점차 벌어지는 양상이다. KB부동산 통계를 보면 지난 3월 기준 서울아파트 '5분위 배율'은 4.958배로 집계됐다. 2018년 9월 5.011배 이후 약 5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이며,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 연속 오름세다. 이 수치는 배율이 클수록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 간 가격차가 큰 것을 의미한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영학회 회장)는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어지면 지금의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국지적·지역적 부동산시장 양극화가 심화할 것"이라며 "수요가 여전한 지역은 가격이 유지되거나 오르고, 반대인 곳은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지역에서도 입지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등 양극화가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며 "지방의 경우 주요 도시와 그 외 지역의 가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주경제=김윤섭 기자 angks678@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