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이슈 불붙는 OTT 시장

영화 ‘OTT 시청’ 대세…최신 개봉작은 ‘극장 관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컨슈머인사이트 ‘영화 소비자 행태 조사’

최근 1년 OTT 영화 시청 경험률, 극장 관람 앞서나

최신 개봉작, 스케일 큰 영화 ‘극장 관람’ 많아

홀드백, 소비자 인지도 낮고 ‘부정’ 반응 커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코로나 이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한 영화 시청이 극장(관람)을 앞섰지만, 최신 극장 개봉작은 극장을 직접 방문해 관람하는 소비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OTT 월구독료보다 비싸서 극장 이탈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진행한 ‘영화 소비자 행태 조사(3월2225일, 국내 2064세 남녀 1064명 대상)’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소비자가 경험한 영화 시청 방식(복수응답)에서 ‘OTT’가 74%로 ‘극장 관람(66%)’을 앞섰다.

그러나 최신 극장 개봉작의 경우, ‘극장에 가서 보는 편’이라는 응답이 37%로 ‘OTT에 공개되면 보는 편’이라는 응답(33%)보다 더 많았다.

OTT 영화 시청이 대세이긴 해도 최신 영화 관람을 위해서는 직접 극장을 찾아가는 사람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액션, SF, 판타지 등 스케일이 큰 영화는 주로 극장에서 관람하고, 드라마, 로맨스, 코미디, 애니 등은 집에서 OTT로 시청했다고 한다.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이유는 대형 스크린과 음향 때문에(63%), 몰입이 잘 되는 환경 때문에(41%), 최신 영화를 가장 먼저 볼 수 있어서(41%)였다.

반면 극장이 아닌 다른 곳에서 보는 이유로는 언제 어디서든 영화를 볼 수 있어서(70%), 극장의 티켓 가격이 비싸서(39%), 극장을 방문할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28%) 등을 들었다.

극장 관람 비율은 코로나 기간 크게 감소했고 앞으로도 크게 회복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최근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횟수가 3~4년 전과 비교해 ‘감소함’이라는 응답이 5명 중 3명 꼴(61%)이었고 ‘증가함’은 16%에 그쳤다.

앞으로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횟수는 ‘지금과 비슷할 것’이 58%로 과반수였지만 ‘감소할 것(28%)’이라는 응답이 ‘증가할 것(14%)’의 2배였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홀드백 규제, 10명 중 7명 ‘잘 모름·처음 들어봄’

영화의 극장 개봉과 OTT 공개 사이에 기간을 두는 ‘홀드백(Hold Back)’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낮았다.

홀드백에 대해 ‘잘 모름·처음 들어봄’이 71%에 달하고, ‘들어는 봤으나 내용은 잘 모름’이 24%였으며, ‘들어봤고 내용도 잘 알고 있음’은 5%에 그쳤다.

홀드백 제도의 취지를 설명한 후 이에 대한 입장을 묻자, ‘중립(43%)’이 다수이긴 했으나 ‘부정적(37%)’이 ‘긍정적(21%)’보다 우세했다.

적정한 홀드백 기간에 대해서는 ‘시장 자율에 맡기는 것이 좋다’가 4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13개월(40%)’ 그리고 ‘46개월(14%)’ 순이었다. 특히 홀드백 규제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응답자의 경우에도 다수가 ‘1~3개월’을 지지했다.

홀드백 제도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영화만 적용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69%)’, ‘요즘 소비자의 영화 시청 행태에 맞지 않는 제도(60%)’,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제도(58%)’라는 부정적 시각이 다수였다.

반면 ‘한국 영화산업(특히 극장 관람)에 활기를 불어넣을 제도(24%)’, ‘극장 관람객이 늘어날 것(22%)’ 등 긍정적 측면에 대한 공감은 많지 않았다.

주로 극장 이외의 채널로 영화를 보는 소비자의 경우 실제로 홀드백 기간이 늘어난다고 해도 ‘극장에 가서 볼 것 같다’는 응답은 10%에 불과했고, 나머지 90%는 OTT, 유튜브 요약본, 유/무료 VOD 등 극장이 아닌 다른 플랫폼을 선택했다.

따라서 홀드백 제도를 통한 극장 관객 유인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